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조정래의 아리랑을 읽으면서 그동안 몰랐던 일제 식민시대 우리 민족의 삶을 많이 들여다보았다고 생각했다. 일제 식민지가 배경인 다른 소설들도 마찬가지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느끼는 감정은 대부분 비슷했던 것 같다. 일본에 대한 분노, 나라 잃은 설움, 한 많은 우리 민족에 대한 연민, 아직도 남아 있는 잔재에 대한, 그러나 쉽게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현실에 대한 막연함.

   이 소설 또한 전체적인 배경은 같다. 그래서 별 다른 내용이 있으랴 싶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의 점이지대인 북간도(연변, 동만)를 배경으로, 조선과 중국의 항일 전사들의 유격구 활동과 당시 간도를 주축으로 한 민족해방운동진영을 벌집 쑤시듯 뒤흔들어놓았던 '민생단' 사건을 모티프로 한 소설이란다. 

   ‘민생단’은 뭔가? 독립 운동 단체인가? 
   인터넷을 뒤져 민생단 사건을 찾아보았다.

   <민생단은 동만주의 일본 영사관 조종 아래 만주 지역 조선인의 자치 실현을 표방하면서 발족한 친일 반공단체이다(1932.2) 1932년의 춘황 투쟁(지주들의 쌀을 빼앗아 농민에게 나누어 줌)과정에서 나타난 민생단 반대 운동과 자체의 내분, 조선총독부의 비협조로 그해 10월 해체되었다. 하지만 중국공산당 간부 한 명이 조선인 당원에게 살해되는 사건을 계기로 중국공산당은 조선인 공산당원과 재만 조선인들을 박해하였다. 특히 친일 세력의 농간에서 중국공산당 내 조선인 당원들의 대부분이 민생단원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중국공산당과 항일 유격대 내부에서 반민생단 투쟁이 전개되었다. 그 과정에서 500명의 조선인이 희생되었다. 김일성도 이때 민생단원으로 의심되어 죽음 직전까지 갔었으나 중국공산당 간부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고 한다. 1935년경부터 중국공산당 내부에서 반민생단 투쟁의 오류를 반성하고 무엇보다 두 민족이 연대하여 반일 통일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중국 공산당이 공식적으로 반민생단 투쟁을 종결한 것은 1936년 3월이다.>

   나라와 민족을 해방시키겠다고 모인 사람들이 서로를 의심하며 같은 민족을 살해한 사건이라고 한다. 물론 친일파라 이름 불린 사람들은 같은 민족이면서도 앞장서서 나라와 민족을 총 칼 앞에 세웠고 수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켰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을 아무런 거리낌 없이 미워하고 비판한다. 하지만 민생단에 얽혀 같은 민족끼리 죽이고 죽어간 사람들은 누구를 원망해야하는가.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어야하는 상황 속에, 내가 진정 누구인지도 모르는 상황 속에 오직 민생단이라는 이름으로 500여명의 조선인이 희생되었다니…….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시체만이 자신이 누군지 소리 내 떠들 권리를 지녔다. 시체가 되는 순간, 그들은 자신의 운명을 최종적으로 납득했으니. 유격구에서 나는 수많은 시체를 봤다. 그 시체들은 저마다 이렇게 떠들었다. 나는 민생단으로서 동지들의 골수를 적에게 팔아먹었다. 나는 혁명을 보위하기 위해 내 살과 피를 팔아먹었다. 그 아우성들을 들을 때마다 나는 간도 땅에서 살아가는 조선인들은 죽지 않는 한, 자신이 누구인지 말할 수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들은 경계에 서 있었다. 어디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민생단도 되고 혁명가도 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항상 살아 있었다. 살아 있다는 건 다만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라는 것이므로, 시시때때로 운명이 바뀐다는 뜻이므로’

   주인공 김해연의 말처럼 스스로가 누구인지 무어라 말해야하는지 아무도 모른 체 결국 민생단이 되지 않기 위해 같은 민족을 민생단이라 하며 죽이고 민생단이 아닌 사람을 죽인 자신도 민생단이 되어 죽어 간다. 결국 어떻게 해도 민생단이 되고 마는 것이다.

   근원을 쫓아가다 보면 힘없이 나라 잃은 우리의 상처이고, 힘으로 남의 나라를 빼앗고 민족 간 이간질을 시킨 일본이 잘못이지만 그렇게 결론짓고 말기에는 왠지 가슴 한편이 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