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화전설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
위앤커 지음, 전인초.김선자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 고대의 신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
중국신화는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으며 내용도 대단히 풍부하다. BC 30~21세기, 즉 우(禹) 이전의 시기에 신화가 이미 발달했다.
 지금까지 전해내려오는 수인(燧人)·공공(共工)·여와(女)·복희(伏羲)·신농(神農)·황제(黃帝)·제준(帝俊)·과보(父) 등의 초기 신화를 통해 천지개벽, 인류기원, 일월성신, 자연산천, 홍수, 부족전쟁, 토템 활동, 무술예의(巫術禮儀)의 다양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신화들은 천지만물의 제반 현상에 대한 상고시대 사람들의 해석을 반영하고 있다. 서술된 신(神)과 사적(史蹟)에는 신앙과 경외감이 충만하고, 또한 그 위령(威靈)을 노래했다. 중국사회가 변하고 발전함에 따라 이런 고대신화들은 종교·예술·문장·풍속의 기원이 되었다. 천제(天帝)에 관한 신화는 진(秦)·한(漢) 시대의 방사(方士)와 그후 도교가 흥기하면서 차츰 옥황상제로 바뀌었고, 서왕모(西王母)도 옥황상제의 황후가 되어 하나의 신선집단을 형성했다. 〈사기 史記〉의 오제본기(五帝本紀)·고조본기(高祖本紀)에서는 신화를 제왕이 천명을 받은 근거로 삼아 정사(正史)에 집어넣었다. 신도(神)와 울루(鬱壘)는 갈대와 끈으로 호랑이를 묶고 흉악한 귀신을 막은 고대의 신으로, 후세에 문을 지키는 문신(門神)으로 받들어졌다. 이들은 문신인 진경(秦瓊)·위지경덕(尉遲敬德)의 전신으로, 이 풍속은 1940년대까지 중국의 민간에 전해내려왔다. 이러한 것들은 후세의 문학에 영향을 끼쳐 단편으로는 지괴소설(志怪小說)인 〈수신기 搜神記〉, 당·송의 전기(傳奇), 〈요재지이 聊齋誌異〉 등이 있다. 장편으로는 <봉신연의 封神演義〉·〈서유기 西遊記〉 등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위의 작품들은 도교·불교 고사와 민간전설을 많이 담고 있으며, 모두 신화의 아류이다.

중국 고대신화는 대부분 〈산해경 山海經〉·〈좌전 左傳〉·〈여씨춘추 呂氏春秋〉·〈회남자 淮南子〉·〈목천자전 穆天子傳〉· 〈사기〉 등의 고서적에 흩어져 실려 있다. 이 기록들은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며 담겨 있는 관념과 사실 또한 차이가 있다.
중국의 현대 학자들은 신화를 많이 정리·연구했는데, 저술로는 루쉰[魯迅]의 〈중국소설사략 中國小設史略〉, 마오둔[茅盾]의 〈중국신화 ABC〉, 원이둬[聞一多]의 〈복희고 伏羲考〉, 위안커[袁珂]의 〈고대신화선석 古代神話選釋〉·〈중국고대신화〉 등이 있다. 중국 소수민족들의 신화는 근래 대량으로 기록·발굴되었는데 중요한 연구가치를 지니고 있다.

   중국의 역사와 함께 해 온 우리의 역사를 생각해 볼 때 그리스 로마 신화보다는 더 친숙해야할 중국의 신화와 전설이 너무도 낮설게 느껴졌다.
   세상을 창조한 복희와 여와를 시작으로 중국의 사방 상제인 태호, 염제, 소호, 전욱, 그리고 중앙 상제인 황제까지  그들의 기괴한 모습과 전설 속 행적들이 복잡하고 정리되지 않아 읽는 내내 머리가 아플 지경이었다.
   물론 내가 신화 시작부분을 읽고 우리와 가까운 세상사와 연관된 신화를 읽지 않아 익숙한 내용을 접하지 못했는지 모르지만 시작부터 방대하게 쏟아져 나오는 여러 신과 그 신들과 연관된 동물, 귀신, 지역까지 넓은 땅을 가진 중국이라는 나라를 또 한번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마도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오랜 시간 직, 간접적으로 대해 왔다면 중국 신화도 좀 더 이해하기 쉬웠을지 모른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문화 속에서, 생활 속에서, 우리도 모르는 사이 우리 옆에 가까이 다가와 있다. 그것에 비해 중국 신화나 우리의 신화는 조금씩 사라져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다행히 근래에는 우리 것을 찾으려는 시도가 조금씩 보여 아이들 동화책에서 우리의 전설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전달해 주기도 한다. 하지만 조금 욕심을 더 내어 우리의 신화와 전설을 재 정비한 쉽고 재미있는 책이 더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