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담 보바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6
귀스타브 플로베르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위 문학작품이라 일컬어지는 작품들을 읽을 때, 오랫동안 익숙하게 들어 왔던 제목만으로 어렴풋하게 그려놓은 책의 이미지와 실제 내용이 판이하게 다름을 깨달을 때가 많다. 그럴 경우 책을 다 읽고 나면 눈앞을 가렸던 가리개를 벗은 것 같은 시원함을 느끼게 된다. <마담 보바리> 또한 내게 그런 작품 중의 하나이다.


   사실주의 문학의 완성, 자연주의 소설의 시작, 현대 소설의 선구 등 이 소설이 누리는 화려한 평가와 명성에 비해 내가 이 작품에서 느낀 감상은 지극히 단순했다. 한심하고 한편으로는 인간적으로 불쌍한 한 여자의 불륜이야기라는 것이다.

   내가 생각한 보바리 부인이라면 좀 더 현실 비판적이고 자신이 저지른 일에 당당하게 책임지는 여성이어야 했다. 그런데 플로베르가 그려낸 보바리 부인은 화가 치밀 만큼 개념 없이 현실을 망각하고 이상 속에서만 허우적거리는 여자였다. 그녀의 이상 속엔 남편도 자식도 심지어 자기 자신도 없었다. 상류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는 달콤한 로맨스와 사치스러운 생활만을 꿈꾸다 결국 경제적으로 파산해 차가운 현실 속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게 만든 허상만 있었을 뿐이다.

   

   이런 엠마에게 같은 여자로서 연민을 느끼는 부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녀는 아들을 갖고 싶었다. 튼튼한 갈색 머리의 애였으면 했다. 남자로 태어나면 적어도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온갖 정념의 세계, 온갖 나라를 두루 경험할 수 있고 장애를 돌파하고 아무리 먼 행복이라 해도 붙잡을 수가 있다. 그러나 여자는 끊임없이 금지와 마주친다. 무기력한 동시에 유순한 여자는 육체적으로 약하고 법률의 속박에 묶여 있다. 여자의 의지는 모자에 달린 베일 같아서 끈에 매여 있으면서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펄럭거린다. 여자는 어떤 욕망에 이끌리지만 어떤 체면에 발목이 잡혀 있다.’


   이처럼 여자로서 받아야했던 사회적 구속과 불평등한 대우에 대한 보상심리로 아들을 갖고 싶어 하는 엠마를 보며 같은 여자로서 공감하기도 했지만 스스로가 그런 현실에서 벗어나보려는 노력보다는 감성적 애정행각 속으로 빠져드는 그녀를 보면서는 냉담해지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나마 그녀를 위해 다행이라면 다행인 것이 죽는 순간을 제외하고 불륜을 위해 거짓말을 하고 쾌락을 쫓아 파멸해가면서도 그녀는 아름다웠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엠마를 그 지경까지 몰고 간 데에 큰 공을 세운 사람이 있다. 무감각하고 몰 개성한 엠마의 남편 보바리다. 이야기 시작에서부터 이야기 끝에 다다르도록 어쩌면 그리도 답답하고 눈치가 없을 수가 있는지 감탄할 지경이다. 보바리가 조금만 더 상황파악이 빨랐던들 한가정이 그토록 비참하게 와해되지는 않았을는지도 모른다.

 

   로돌프, 레옹, 오메, 뢰르 등 어리석은 보바리 부부를 제외한 다른 인물들에게서도 자신을 위한 이기적인 면모 외에 별다르게 이상적인 인간상을 볼 수가 없다. 그러나 이 모든 인간 군상들이 지금도 함께 살아가고 있는 이웃들의 또 다른 모습이라는 것 또한 쉽게 부정할 수 없으며 이러한 인간 군상들의 제각각의 모습을 개성 있게 표현한 부분만큼은 플로베르에게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