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와 열정
제임스 마커스 바크 지음, 김선영 옮김 / 민음사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존재를 알게 되었을 때 나는-사실 현재 진행중이지만-공부를 하는 중이었다. TEPS 공부. 사실 나는 '공부가 제일 쉬워요'라는 말에 격하게 공감하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뚜렷한 목표가 있던 고등학교 때에는 불굴의 의지를 갖고 무리 없이 공부를 해서 좋은 결과를 냈다.


 대학교에 들어간 이후로, 꿈을 잃어버린 나는 그 무엇에도 열정을 불태우지 않은 채 몇 년을 살아왔다. 그러던 와중에 한 가지 목표가 생겼고, 그것은 바로 '변리사'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변리사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공인 영어 시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받아야 한다. TOEIC은 이상하게도 정이 안 가서 TEPS만 주구장창 보는데, 변리사 시험을 위해 TEPS 700점을 넘어야 한다. 대학교에 들어간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의 나는, 특별히 준비를 하지 않고도 700점을 넘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때와는 매우 동떨어진 점수가 나온다. 


 그런데 그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나는 700점이 아니라 970을 넘고 싶다는 것이다.


단순히 높은 점수를 받고 싶어서가 아니라, 오기와 호기심이 생겨 버렸다. 내가 '영어'라는 언어 하나 넘지 못하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뭔가 굉장히 치밀어 오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더 심각한 문제는, 그런 생각을 하면서 열정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1~2달 정도는 나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을 정도로 열심히는 했다. 서울대 언어교육원 아침 9시 30분 수업을 들으면서, 6주간 단 한 번도 지각하지 않았다. 졸지도 않았다. 그 수업을 듣는 그 6주간은 마치 나 자신이 열정에 가득 찬듯한 느낌이 들었다. 아침에 수업을 들으러 가는 길이 가뿐했고, 돌아오는 길도 즐거웠다. 하지만…….


 6주간의 수업이 끝나도 아침에 일어나는 습관을 유지하며 하루에 몇 시간이고 공부를 계속할 것이라는 나의 생각은 틀려버렸다. 분명, 나는 6주간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를 했지만 그것은 결코 열정이 아니었다. 물론 '열정'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기에 어쩌면 나의 그것도 열정이라 칭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는 열정이란 그리 쉽게 꺼지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수업이 끝났다고 다시 나태하고 게으른 예전의 삶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결코 열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늘 머리맡에 두고 시간이 날 때마다 반복해서 읽는 책이 있는데, 자신의 꿈을 크나큰 열정으로 이룬 여성들의 일화가 담겨있다. 그 책에서 날 소름끼치게 만든 이야기 하나.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3년간이었나, 아무튼 그 긴 시간을 단 한 번도 누워서 잔 적이 없는 여성의 이야기. 긴 시간의 노력 끝에 마침내 꿈을 이루고 비로소 침대에 누워 그동안 못 잔 잠을 한꺼번에 잤다는 이야기. 정말 그런 것은 열정뿐만이 아니라 독기 또한 품고 있어야 가능하리라고 본다. 


 어쩌면 그 책을 읽지 않는 편이 나았을지도 모른다. 스스로에 대해 너무 잘 알고 있는 나는, 그 책을 보고 동기부여가 되기 보다는 '왜 나는 열정을 갖고 있지 않는 걸까?'에 대한 생각이 더 크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공부와 열정>이라는 제목의 책을 보았을 때 내가 미친듯이 반가워한 건 필연이었을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공교롭게도 <갈매기의 꿈>을 쓴 리처드 바크의 아들이다. 내가 그토록 힘들어했던 고등학교 시절 여러 번 읽었던 책.(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진정으로, 그래서 고등학교 우리 집 화장실에는 갈매기의 꿈 핸드북 버전이 늘 비치되어 있었다)  신기하고 또 신기하다. 운명? ^^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심장 박동수가 가장 높았을 때의 이야기. 


나는 어려운 일을 배울 때 기대를 낮추고 포부는 높인다.

기대치가 너무 좋으면 무리한 항해를 하게 되고, 

포부가 너무 낮으면 항해를 하다 말기 때문에 많이 배우지 못한다.

따라서 지적 몰입은 기대와 포부 그 '중간 지대'에서 생긴다.


사실 나는 그동안 기대치와 포부를 동일시했다. 내 포부가 지나치게 큰 경향이 있긴 하지만, 어찌 됐든 꿈꾸는 만큼 기대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것이 진실인 줄 알았다. 나의 생각이 절대적 진리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정말 잘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이상하리만치 기대치=포부라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아니었다! 포부는 이상적이되 기대치는 현실적으로 가지면 되는 것, 그것 뿐이었는데. 내가 TEPS 공부에 열정을 갖지 못한 이유를 이제서야 알게 되었다.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TEPS에 대한 나의 포부는 '970점'이다. 그러나 3달 공부해서 받을 수 있는 점수는 아니다. 시험을 한 달 정도 앞뒀을 무렵 나의 생각은 이랬다. 


'내 목표는 970인데 그것이 가능할까? 아, 이번엔 역시 무리. 다음 시험에 970을 받자'


 아이러니하게도, 목표 점수에 미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지금 해도 늦었어'라는 생각을 하게 했고 날 게으르게 만들었다. 바로 기대치와 포부를 동일시해서 생긴 문제이다. 


 '내 최종 목표는 970인데 이번 시험에서 700점은 넘자!'


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다. 물론 이 책의 저자가 나보다 저명하다고 해서 그런 것이 아니다. 아무리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의 글이라도, 읽었을 때 아니다 싶으면 그만. 그런데 난 그 부분을 읽고 나서 너무 어이가 없어서 허탈하게 웃었다. 기대치와 포부는 다르다는 사실이 내게 정말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이제는 알 수 있다. 내가 그동안 열정을 잃었던 것은 기대치가 지나치게 높았기 때문이다. 돈을 벌면 최소한 100억은 벌어야 하고, 외국어를 배우면 8개 국어는 해야 하며, 살을 빼면 온 몸에 군살이 1ml도 없어야 한다고만 생각해 왔다. 그리고 그 목표가 힘들 것 같으니 미리 자포자기해왔다. 아마 이 리뷰를 읽는 분들은 '바보 아냐?'라고 생각하실 것 같다. 바보 맞다. 


Day by day.


 내 기대치인 <나의 꿈>까지 가야만 하는 계단이 '유한(有)'함을 믿는다. 따라서 꾸준히 오르다 보면 반드시 그 곳에 도달한다는 것도. 혹시라도 나와 같은 이유로 이 책을 살펴보게 되는 분들이 있다면 간절히 묻고 싶다. 여러분도 혹시 나처럼, '해봤자 안 돼'라는 생각으로 꿈을 포기하고 열정을 잃은 것은 아니었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