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연금술 - 바슐라르에 관한 깊고 느린 몽상
이지훈 지음 / 창비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람에게는 기쁨과 눈물을 흘리도록 감동을 주는 한 그루의 나무가 다른 사람의 눈에는 공연히 쓸데없이 갈 길을 방해하는 하나의 푸른 물건에 지나지 않습니다. (...) 그러나 상상력이 있는 인간에게 자연은 상상력 그 자체입니다.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

근대 과학이 낳은 합리성과 객관성은 인간의 사고를 보다 이성적으로 형성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지만 그 반대편에 자리 잡고 있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어떤’ 것들은 점차 도외시되기 시작했다. 그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란 사물의 본질과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객관적이지 않은 직관, 그리고 세계를 구성하는 상상력이다. 이들과 관계된 예술이란 부분은 결국 인간의 삶으로부터 떨어져 나갔고 근대 사회가 만들어 놓은 토양 위에서 멸시의 대상으로 규정되었다. 그리하여 예술은 자연을 모방하는 일종의 기술로서 치부되었고 심지어는 일부 귀족들에 의해 향유되는 모조품으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근대 사회가 가진 특성에 정면 도전이라도 하듯 저자는 책의 부제를 “바슐라르에 관한 ‘깊고’ ‘느린’ 몽상”이라 지었다. 그것이 설사 기획된 의도가 아니라 하더라도 바슐라르가 말하는 예술과 연금술이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로서 다가오고 있는지에 대한 답은 어쩌면 이미 나와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서구 비학(秘學)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연금술이 비금속성의 물질로부터 귀금속인 금을 얻어내는 과학적 시도였다는 것은 누구나 흔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 책은 연금술을 실패한 과학으로만 보지 않고 오히려 성공한 시학(詩學)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엠페도클레스(Empedocles)가 만든 ‘사물의 네 뿌리’라는 개념을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1962)의 시학과 더불어 (제목 그대로)깊고 느리게 이야기하고 있다. ‘사물의 네 뿌리’는 바로 물, 불, 공기, 흙 네 원소를 지칭하는데, 이들은 자연을 구성하는 동시에 인간의 삶에 항상 관여하고 있으며 상호 작용을 통해 신적(神的) 직관에 다를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바슐라르가 말한 네 원소의 상상력은 곧 예술의 상상력과 일치하며 이들은 자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연금술의 핵심 관념 중 하나인 ‘대립의 일치(coincidentia opposition)’는 이들 네 원소의 동시 발생과 공존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이 말하는 대립의 일치는 단순히 동일성이나 통일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이들은 본래가 일자(一者: to hen)로부터 발생했으며 결국엔 다시 회귀, 상승의 운동을 거쳐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비주의적 언어관이나 연금술의 언어는 역설적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대립의 일치-대극의 합일은 물, 불, 공기(바람), 흙(대지)의 상호 작용과 그들만의 독특한 성격, 그리고 그들의 상상력을 살펴봄으로써 가능하게 될 것이다. 자연과 교감하여 이루어지는 상상력이야말로 오래도록 사람의 심금을 울리고 달랠 만한 생명력이 있다는 말은 예술의 상상력이 가야 하는 방향을 지시해준다. 그것은 울림, 즉 자연과 교감함으로써 얻어내는 공명(公明)이다. 바슐라르는 상상력의 알맹이가 “이미지의 형성이 아니라 변형(deformation)에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여기서 변형은 연금술에서 말하는 사물의 본래 속성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몸을 얻는 것과도 관련이 있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버리는 일을 뜻한다. 그리하여 질료적 상상력은 내적 자기 갱신을 통해 육화(肉化)한다.

샘물을 바라보는 일(narcissism)-명상적 관조-을 통해 우주적 자기애를 획득하는 물의 상상력, 화산으로 뛰어든 엠페도클레스를 통해 모든 것을 버리고 모든 것을 얻게 됨을 말하는 불의 상상력, 상승과 하강의 대립이 일치하는 상승 벡터에 대해 말하고 있는 공기의 상상력, 밝은 빛(흰 그늘)과 어울려 음예(陰翳)의 무늬를 만드는 어둠으로써의 대지의 상상력. 바슐라르가 말하는 네 원소의 상상력은 저마다 대립의 일치를 꿈꾸고 있으며 존재의 밖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려는 연금술의 노력을 보여준다.

책에서는 바슐라르의 네 원소의 꿈과 관련된 이야기만을 시론(試論)으로 다루고 있지만 남겨진 문제는 보다 광대하다. 왜냐하면 저자도 말하고 있듯이 후대에 바슐라르에게 가해진 비판이 사회성의 결여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술이 삶과 연관되는 길은 편협한 일원론과 양자택일의 틀을 벗어나는 것, 그리고 네 원소의 상상력이 보여준 것처럼 자연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라고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근대 사회의 불안과 건조함은 대립항에 놓인 것들의 불균형으로부터 기인한다. 현실적으로 양립이 불가능해진 것에 공생의 기회를 주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우리가 세워나갈 문화의 지표가 될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사물이 가진 형상적 의미뿐만 아니라 질료적 의미까지 통찰할 수 있을 때 우리는 그 무의미 속에서 참된 의미를 찾게 될 것이다. 세계 창조의 과정을 수없이 많은 상징의 언어들로 보여준 연금술 속에 그 과정이 담겨있다. 그리고 그 과정은 예술을 통해 우리 앞에 하나씩 나타날 것이다.

"예술은 가장 개성적인 방식으로 자기 매듭을 짓는다는 뜻에서 최고의 자기 실현이며, 온 자연의 끈을 가장 독특한 방식으로 자기 속에 끌어들인다는 뜻에서 최고의 통합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