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목소리가 들려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제이는 내 욕망의 수신자가 아니라 통역자였다.'



어느 날의 고속터미널, 그곳에는 어디론가 오고가는 사람들뿐 아니라 세상 어딘가에 속할 수 없는 존재들이 모여있기도 한 곳이다. 병원도 집도 아닌 세상의 통로에서 제이는 태어난다. 소설의 첫장인 이부분을 읽으면 제이의 탄생이 주는 강렬한 이미지, 끈적한 점액질 같은 묘사에 홀리게 된다.



소설의 서술자라고도 볼 수 있는 동규는 함구증을 앓고 있다. 그는 유일한 친구인 제이를 자신의 욕망의 통역자라고 여긴다. 타인을 자신의 욕망의 통역자, 그러니까 타인에게 자신의 욕망을 투영한 것인데 때문에 정말 자신의 욕망이 아니더라도 그가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동규는 제이를 수용한다. 또 어린아이 답지 않은 제이의 행동들과 그런 제이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투영하는 동규의 모습은 흔히 부모의 무관심 속에 방치된 아이들이 친구에게서 좀 더 동질감을 느끼기를 바라는 행동으로도 보였다.



작가 자신이 '무속자'라고 칭한 주인공 제이의 삶. 제이의 기행은 그가 여러 사건을 거쳐 거리의 삶을 살면서 시작된다. 그가 거리에서 가출한 또래들을 만나면서 벌어지는 일들은 충격적이지만 아주 낯설지는 않은 이야기다. 기성 세대가 외면하려고 했던 충격적인 사실들은 작가에 의해 이미지화된다. 힘으로 질서가 유지되거나 전복되는 마치 야생 같은 곳. 활자임에도 때로는 읽기가 힘든 이야기들이 우리가 사는 여기 어딘가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소설 속에서 그를 '싯다르타'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싯다르타』에서 싯다르타는 나이를 먹으면서 지혜와 새로운 경험을 얻고자 친구인 고빈다와 함께 집을 떠난다. 슬픔과 고통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내면의 자아를 완성해가는 과정과 세상의 진리를 찾고자 하는 싯다르타, 감각본능의 세계에 존재하는 또 다른 자아를 찾는 싯다르타, 초월주의적 이미지, 다른 것의 목소리를 듣는 것 등. 너의 목소리가 들려 속 제이와 비슷한 면이 많다.



읽을 수록 작가는 왜 이런 이야기를 쓰게 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소설을 다 읽고 나서 군데군데 이야기가 비어있다는 느낌, 좀 더 할 말이 있었는데 하지 않은 것 같은 찝찝한 느낌이 들었다. 장편소설에서 느낄 수 있는 완결성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며 넘긴 다음장에서 김영하 작가는 놀라운 이야기를 늘어 놓는다. 바로 제이가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이라는 사실과 이 이야기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라는 것이었다.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소설 속 내용이 전부 허구라고만 알고 있었을 때보다 더욱 마음이 불편해졌다. 하지만 작가가 내가 의문을 가졌던 비어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을 했기 때문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었다.



과연 소설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들... 여기서 소설 도가니가 영화화 되면서 일어났던 일들이 생각났다. 도가니가 할 수 있었던 일, 그건 그 사건에 '가해자'라는 목표물이 정확하게 존재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마음놓고 분노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출청소년의 문제는 어떨까? 그들의 부모의 잘못일까? 아니면 가출한 그들 자신에게 문제가 있는 것일까? 우리는 누구에게 분노해야 하지? 가해자는 누구고 피해자는 누구일까? 답을 내리기가 어렵다.



하지만 결국 문제는 소통이 아닐까하고 나는 생각했다.

누군가의 목소리를 잘 듣는 것, 잘 들어주는 것. 소통하는 것.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많은 참극이 이 때문에 빚어진다. 그럼 소설은 '무엇을 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소설을 읽는 사람은 결국 누군가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것이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라는 책 제목 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