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老子) 을유세계사상고전
노자 지음, 최재목 옮김 / 을유문화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나라의 학자였던 왕필(王弼, 226-249)은 중세 중국의 관념론적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인물이다. 그가 쓴 [노자주(老子註)]와 [주역주(周易註)]는 수ㆍ당 대에 성행했고,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우리가 읽는 대부분의 [노자]는 왕필의 [노자]다. 왕필이라는 천재적인 학자가 주를 달고 정리한 그 [노자]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떤 정치적 목적에서 공자의 유학에 노자와 장자의 철학을 끌어들였다는 데 있다. 그러다보니 본래의 뜻과는 상관없는, 혹은 본래의 뜻과는 상반된 의미로 왜곡이 되기도 했다는 사실.

 

굳이 원본 [노자]면 어떻고 왕필의 [노자]면 어떤가. 내 삶에 지침이 되고 활력이 된다면 상관없다는 식의 생각도 가능하지 않을 건 없다. 어떤 텍스트 건 읽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재해석이 되기는 마찬가지일지도 모르니까. 하지만 지금 읽고 있는 [노자]가 원래의 [노자]는 아니라는 사실을 안다는 것은 중요하다. 텍스트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여러 사람의 욕망이 투영되었다는 사실을 안다는 것도 중요하다. 알아야 맹신에 빠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老子, 마이너스 철학으로 리더를 꿈꾸다>라는 제목으로 동양 사상 강좌 후반기를 이끌어갈 강사는 이승률 교수다. 첫날 강의의 제목은 “地下의 노자와 紙上의 노자”.

 

왕필의 [노자]는 ‘紙上의 노자’다. 3세기의 학자가 정리한 [노자]인 것이다. 그러다가 1973년 제후급 무덤인 마왕퇴에서 비단에 쓴 [노자]가 출토되었다. 이름하여 ‘마왕퇴백서(帛書)’라고 불리는 이 판본에 의하면 글자 수는 현행본과 거의 비슷한데, 갑/을 2종의 판본이 존재한다. 한대(漢代)의 예서체로 서사되어 있다. 쓰인 시기를 살펴보면 갑본은 B.C. 206~180년 경, 을본은 B.C. 180~157년 경으로 추정한다. ‘地下의 노자’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1993년 곽점이라는 곳에서 출토된 곽점초간(郭店 楚簡)은 학계에 엄청난 충격을 준 모양이다. 연대적으로 가장 오래 된 텍스트가 발굴된 것이다. B.C. 4~3세기로 추정되는 전국시대 초나라 문자로 쓰여진 이 죽간(竹簡)은 현행본 [노자]의 81장 중 1/5 정도에 해당하는 2046字로 되어 있다. 학계에서는 곽점본을 [노자]의 원형에 가장 가까운 텍스트로 본다.

 

老子라는 인물은 전설처럼 베일에 쌓여 있다. 사마천의 [史記] <노자한비열전>에는 “노자는 초나라 고현 여향 곡인리 출신으로, 성은 李씨고, 이름은 耳, 자는 耼이다. 주나라 왕실 장서실의 사관이었다.”라고 밝히면서 노담이라는 인물이 노자라는 것을 사실화, 역사화하려 하고 있지만, 사마천은 “世莫知其然否”이라고 하여 노자가 누구인지 확신이 없음을 밝혔다. 사마천이 [史記]를 쓸 때 참고한 자료도 결국 [莊子]였을 것이라고 본다면 원래의 [노자]를 알기란 쉽지 않다.

 

이승률 교수는 우리가 [노자]라는 텍스트를 현 상황과 관련된 선입견을 바탕으로 읽으면 원래의 메시지를 볼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곽점초간(郭店 楚簡)에 권위 있는 학자인 그의 강의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도 노자의 원래 모습을 좀 더 알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긴다. 역사의 흐름과 맞물려 원래의 [노자]가 지금의 [노자]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진진할 것 같다.

 

[참고 도서]

[노자] 최재목, 을유문화사, 2006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최진석, 소나무, 2001

[김충열 교수의 노자강의] 김충열, 예문서원, 2004

[노자 삶의 기술, 늙은이의 노래] 김홍경, 들녘, 2003

[백서 노자 백서본과 곽점본ㆍ왕필본의 텍스트 비교와 해석] 이석명, 청계출판사, 2003

[老子] 池田知久, 2006

[老子註譯及評介] 陳鼓應, 1987
 

http://blog.naver.com/ythsun2 

www.renai21.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