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양철학 에세이 - 개정증보판 ㅣ 동녘선서 70
김교빈.이현구 지음 / 동녘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천자문(千字文)이 네 글자를 한 구로 쓴 천 글자의 고시(古詩)라면, 도덕경(道德經)은 전체 81장으로 된 오천 글자의 철학시라고 할 수 있다. 한문이란 것이 해석하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 예사지만 특히 도덕경은 사람마다 다른 방식으로 읽는 대표적인 텍스트가 아닐까 싶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라고 할 수 있는 도는 진짜 도가 아니며, 이름붙인 이름은 진짜 이름이 아니다.
도가(道家) 사상이 소규모 생산자, 소소유자를 기반으로 한 은자(隱者)집단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도가에서 추구하는 도(道)란 존재론적 신비의 개념이 아니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존적 철학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렇다면 노자 사상의 핵심이라고 하는 ‘無爲自然’과 연관하여 도덕경을 읽어보면 어떨까. 무위(無爲)란 인위적으로 손대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 또 이름은 기호(sign)에 불과한 것이니 이름 자체가 존재를 규정할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실재 우리는 이름에 현혹되는 경우가 많지 않은가.
도덕경 58장에는 화(禍)와 복(福)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화(禍)는 복(福)의 원인이 되고, 복(福)에는 화(禍)가 숨어있다.
새옹지마(塞翁之馬)를 떠올리게 하는 이 구절에는, 우리가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관념을 깨부수고 완벽하게 상대화 시키는 논리가 들어 있다. 감각이나 기존의 지식에 의존하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 그대로의 존재를 받아들이려고 하는 도가적 사유방식. 도를 도라고 하면 진짜 도가 아니고, 대상에 이름을 붙이는 순간 그 대상의 본질은 퇴색해져버린다는.
고개가 끄덕여지면서 한편 쓸쓸해지는 고매한 논리이다. 그동안 너무 많은 것에 이름 붙이고, 너무 많은 것을 규정해왔던 습관 때문인가 보다.
http://blog.naver.com/ythsu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