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초대
이현숙 지음 / 산지니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핏 보면 소설이 하나같이 극단적으로 힘든 사람들을 다루어 어둡고 칙칙하게 보인다. 그러나 소설을 읽다보면 고개를 갸웃하게 되는 지점이 있다. 어렵고 힘든 상황 속에서 거칠게 부대끼고 사는 사람들이 마지막에 선택하는 것은 결국 인간에 대한 사랑을 포기하지 않고 품는 쪽이다. 

'여행의 한 방식'에 나오는 아버지의 횡포는 아무리 노인이고 병자라고 하지만 선을 넘었다고 할 수 있다. 자식을 인간이 아닌 소유물로 보는 정신나간 늙은이인데 작가는 끝까지 그 망종 같은 늙은 아버지를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태풍의 집'에서 티켓을 팔아 성매매를 하는 소녀 제지는 태풍으로 다방이 물에 잠기는 날 자신에게 몸을 맡겼던 지체장애자 소년을 위해 쿠션을 사들고 그에게로 간다. '검은색 스키니진'에서 어린 이주민 여성과 결혼한 남편은 아내의 부정을 의심하고 옷을 바다에 던져버리는데 알고보니 아내는 생계를 돕겠다고 선박에서 버려진 생선을 줍기 위해 뛰어다니고 있다. '로티스'에서 화자인 나는 맞춤구두 장인인 남편이 사실은 고교 때 친구와의 사랑을 잊지못하는 동성애자임을 알고 충격받지만, 남편의 지극한 사랑앓이를 연민해 화장을 도와주고 그 자신이 만든 구두와 친구 구두를 내밀며 가서 사랑하라고 보내준다. 

'비트의 세상'과 '수상한 초대'에서는 동생의 죽음, 골수이식을 기다리는 동생이 나온다. 세상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기만의 세계를 완성하려는 동생의 자살과 골수이식을 기다리는 동생을 버리고 떠나는 주인공의 상황이 매몰차 보이지만, '비트의 세상'에서 화자는 동생이 보냈던 그림을 보면서 처음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직면하고 자아를 찾는다. 그리고 '비트의 세상'의 나는 늘 동생과 가족에게 피해자로 살면서 스스로 팽개쳤던 자신을 품고 새로운 미래로 달려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섯 편의 소설을 보면서 이현숙 작가가 다루는 세계가 한결같이 불안하고 위태롭다는 생각을 했는데, 그것은 아마도 작가가 살아낸 세상이 그만큼 굴곡졌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소설은 작가의 삶을 다루는 게 아니지만 작가의 인생관과 심리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가 없는 거니까 말이다. 

그렇게 불안한 상황을 펼쳐놓고, 여섯 개의 단편을 완성함으로써 이현숙 작가가 끌어낸, 끝까지 잃지 않은 인간에 대한 다정함, 인간성을 포기하지 않는 시선에 박수와 응원을 보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