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마을에서 나리라고 불리며 약간의 땅을 가지는것은 플랜더스 농부가 이룰 수 있는 가장 큰 꿈이었다. 한곳에서 만족하며 겸손하게 살다가 죽는 것, 그것이 젊었을때 온 세상을 누비다가 빈손으로 돌아온 늙은 군인이 사랑하는 어린 손자에게 바라는 가장 좋은 삶이었다. 하지만넬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 P73
넬로는 조금 다른 미래를 꿈꿨다. 조그만 땅을 경작하고 윗가지 지붕 아래 살면서, 자기보다 조금 더 가난하게나 조금 덜 가난한 이웃들에게 나리라고 불리며 살고 싶지 않았다. 붉은 저녁노을 아래 서 있는 대성당의 첨탑이자신에게 다른 삶이 있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안개 낀 어스름한 잿빛 아침에 들판 너머에 솟아 있는 첨탑의 모습이다른 삶을 이야기했다. - P74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정신적 성숙과 발전이겠지요. - P137
그러나 지난 2천 년 동안 전혀 방해받지 않고 여성의 문명을구축해온 이곳의 여자들은 여자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그들이 이루어낸 사회 발전만큼 거대한 이미지를 떠올렸다. 그들에게 남자라는 단어는 단지 한 성별로서의 남성을 의미할 뿐이었다. - P234
그들에게는 우리가 말하는 ‘여성스러움‘이 현저히 부족했다. 이 점때문에 나는 이내 우리가 너무도 좋아하는 ‘여성스러운 매력들‘은 사실 전혀 여성스럽지 않으며 남성성이 반영된 결과물일 뿐임을 확실히 깨닫게 됐다. 즉 여자들은 남자들을 즐겁게 해줄 의무가 있어 그런 특징들이 발달된 것이고 이러한 특징들은 여성스스로 자아실현을 하는 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P105
이는 청소년들에게 지나친 부담이다. 시민적 감수성에도 유해하다. 우리가 스스로를 자수성가한 사람 또는 자기충족적인 사람으로 볼수록 감사와 겸손을 배우기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그런 감성이 없다면 공동선에 대한 배려도 힘들어지게 된다. - P37
여기서 계면조, 평조, 우조라는 것은 단순히 음계의 구성음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부르는 방법과 전체적인 곡의 분위기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계면조는 애절하고 비통한 느낌이고, 우조는 장중하고 온화한 느낌이며,평조는 화평정대한 느낌이다. - P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