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빈스키는 레코딩 기술이 앞으로 가져올 변화와 가치를 정확히 이해했다. 일찍이 자동 피아노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그보다 훨씬 자신의 의도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전달할 수 있는 레코딩의 출현을 반겼다. - P247

스트라빈스키가 ‘바흐로 돌아가자‘, ‘베토벤으로 돌아가자‘라고 외친 뜻은 그들의 음악을 인용하자는 게 아니었다. 바흐와 베토벤이 그랬듯이 주위에 산재한 스타일을 묶어 새로운 개성을 만들자는 주장이었다. - P268

제정 러시아 말기에 태어난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발레와 오페라로 시작해, 협주곡과 종교 음악에 이르기까지 평생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었다. 흥미로운 점은 그의 음악 가운데 결국 춤이 되지 않은 것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스트라빈스키의 수족과 같았던 안무가 조지 발란신이 그의 피아노 협주곡 《카프리치오》와 바이올린 협주곡을 춤으로 만든 것이 대표적이다. 21세기 최고의 안무가로 꼽히는 이르지 킬리안Jiri Kylián은 《시편 교향곡》까지 안무했다.
‘춤‘ 안에는 이미 음악이 포함돼 있다. 바꾸어 말하면 모든 음악은 춤이다. 스트라빈스키는 그 사실을 가장 잘 알고 있었던 작곡가인지도 모른다. - P2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