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된 집중과 차단은 지능에 상관없이 특별한 재능을 선물한다. 그러나 그 재능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쉽게 한계를 그어대던 많은 것들을 차단하고 싸워야만한다. - P110

하버드대학을 1등으로 졸업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과연 자신의 분야를 향한 차단된 열정‘ 을 가지고 있는가였다. - P123

푸르트벵글러는 즉흥적으로 주관적인 영감을 자유로이 해석했다면, 토스카니니는 ‘지휘자는 작곡가가 창조한 음악의 단순 전달자라는 생각에 악보에 충실한 음악을 선사했다. 그 두 거장의 뒤를 조용히 밟았던 카라얀은 이들의 중간 접점을 유지하면서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잡았다. - P161

미하이가 확인하려 했던 것은 자신이 하는 분야에 의미 있게 접근하는 것이 정말 그 학생을 탁월하게 만드는가에 대한 질문이었다. - P166

우리는 이미 우리의 어둠에 익숙한 것이다. 우리가 정말로 두려운 것은 그들이 어둠에서 나와 마침내 밝게 빛냈던 ‘빛‘ 이다. 그 빛은 우리 안에도 있지만 우리는 그 빛이 정말로 두려울 뿐이다. - P251

하버드대학의 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가 주장한 대로 9개의 AP과목에서 의미 없이 우수한 학생들보다 1개의 과목을 깊게 파헤치는학생들은 두 배 이상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가드너의 주장대로 한분야에 대해 깊은 이해를 만들고 학문을 향해 자신의 가치관을 찾는 행위에는 특별한 힘이 있다. - P260

우리는 의미를 가진 존재다. 하지만 그 의미을 오랫동안 너무 가볍게 생각해왔다. 내가 더는 나약하지 않고 내 분야를 통해 이 세상을 보다 의미 있게 바꿀 수 있다는 나 자신을 초월하는 신념과 믿음 그리고 내가 걸어가는 이 발걸음들이 모두 의미가 있다는 것을 인지할 때, 우리는 우리를 향한 적대적인 많은 환경 신호 앞에서 단단해질 수 있고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리고 그 변화는 풍요로운 어둠 속에서 더 황홀한 빛으로 만들어진다. 슬럼가의 학생들에게 새로 새겨진 빛처럼 말이다. - P263

모든 것이 차단된 순간 가장 중요한 것을 향할 때 그 빛은 가장 밝게 빛난다. - P2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