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비서는 다이어리입니다 - 시간 관리 전문가는 다이어리를 어떻게 활용할까
윤슬 지음 / 담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출판 <담다>의 블로그에서 진행된 서평이벤트에 참여하여 책을 읽어볼 수 있게 됐다.

다이어리 쓰기와 멀어진 이유를 생각해보면, 직업적인 부분을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는 주변에서 다이어리를 쓰거나 꾸미는 것이 유행이었던 적이 있어 그 분위기를 거부하지 않고 순순히 따라가, 누군가가 했던 것들을 따라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던 시기도 있었다. 대학교를 다니면서는, 강의시간표나 과제 제출 등의 일정이 정해져 있어 그 일들을 잊지 않으려 기록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했다.

처음 일을 시작하면서는 나름 정규직이라고, 회사에서 매년 제공되는 다이어리를 사용하면서 앞으로 1년 동안의 계획보다는 당장 닥친 일들의 2,3달 간의 개략적인 일정을 기록하고, 회의했던 흔적들을 남기기도 했었다.

프리랜서로 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더욱 다이어리와 멀어지기 시작했던 것 같다. 점점 많아지는 짐들 속에서 덜어내게 되고,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것이 다이어리가 된 것이다. 새해를 시작하면서 어떤 일을 하게 될지, 어디에서 일하게 될지에 대한 부분이 명확하지 않게 됐다. 지금하던 일이 끝나면 다음엔 또 다른 일을 시작하면서 당장 닥치는 일을 시작하고 마무리해내는 데에 급급하기만 하게 됐다. 계획을 세우는 것도 처음엔 계획된 일정이 있었지만 그것이 유동적이고 가변적으로 변경되는 부분이 많아져 기록했다가 더 지저분하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태반이었어서 이럴 바엔 안 쓰는 게 낫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다이어리와 멀어졌다.

책을 읽어보면서 든 생각은, 다이어리는 단순한 스케줄러가 아닌 당시의 솔직한 기록이 되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함의 정도를 생각해보면 이것저것 불평불만을 쏟아내기만 할수는 없다. 일에 관련된 부분과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불평을 쏟아내는 것은 감정 쓰레기 통의 기능밖에 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솔직함이라는 주관이 섞인 객관적인 기록으로 남아야할 것 같다.

불평이라면 일기를 따로 쓰면 되지 않을까.

기록을 다시 살펴보며 지나간 시간을 되짚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든다. 그 때는 어땠었지? 어떤 일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했었는지, 나는 어떤 상태였는지 - 같은 것들을 다시 들여다보고, 내가 앞으로 해야할 일과 방향을 정해 나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지.



최근 1,2년 동안 일을 하면서 드는 생각은, 정말 이 길이 내 길인가? 하는 생각이다.

당최 정리가 되질 않아 뒤죽박죽인 상태이다. 일단 제일 하고 싶은 것보다 그나마 잘하는 것을 업으로 삼아 숨쉬는 비용을 벌고 있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2023년은 해야겠다고 생각한 것들을 미뤘다가 하지 않도록 계획을 기록해 보자.

근데, 내 비서는 다이어리가 될 수 있을까?



보통 1월이 시작하는 의미를 지니지만, 이상하게 애매한 느낌이 강했다.

시작되었는데, 아직 시작된 것 같지 않은 분위기 같은 게 있었다.

새로운 일 년, 새로운 1월이 시작되었는데도

마치 12월의 연장처럼 느껴지곤 했다.

뭔가 양쪽에 다리를 걸친 느낌이라고나 할까.

거기에 구정을 염두에 두고 생활하면 거의 두 달을 도둑맞는 기분이었다. -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