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Stan Getz's final recording, a two-CD live set of duets with pianist Kenny Barron that was cut just three months before his death, finds the great tenor in surprisingly creative form despite an occasional shortness of breath. Getz's tone is as beautiful as ever and he does not spare himself on this often exquisite set. His version of Charlie Haden's "First Song" is a highlight but none of the 14 performances are less than great. A brilliant farewell recording by a masterful jazzman. — Scott Yanow

Artist : Stan Getz with Kenny Barron
Album Title : People Time
Date of Release : Mar 3, 1991 - Mar 6, 1991 (recording)
AMG Rating : ★★★★☆
Tones : Amiable/Good-Natured, Laid-Back/Mellow, Refined/Mannered, Gentle, Playful, Passionate
Styles : Post-Bop, Mainstream Jazz
Type : live
Time : 115:20
Charts & Awards : Billboard Chart Positions & GRAMMY Awards

오늘도 들은...
더이상의 말이 필요가 없는 음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bbado 2004-09-03 1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도 있는데 벌써 재고가? ㅎㅎ

 

슈만의 교향적 연습곡(Symphonic Etudes)은 피아니스트들과 듣는 이, 모두에게 똑같이 사랑받는 곡이지만, 슈만이 작곡한 다른 많은 작품 중에서도 놀라운 독창성과 이 작품이 차지하는 독특한 위치는 쉽게 잊혀진다. 이 작품은 솔로 피아노에서 완전한 오케스트라로 구성적 변환을 제시함으로써 "교향적(Symphonic)" 요소면에서는 슈만이 이전에 노력을 기울인 변주곡 형식 <슈만의 op. 1 "아베크(Abegg)" 변주곡>을 훨씬 능가하여 피아노의 색채와 울림의 정도에 있어서 한계를 뛰어넘고, "연습곡(Etudes)" 요소에서는 피아니스트들의 기교를 배가 시키고 있다. 슈만의 우상이었던 베토벤의 영향이 강력한 공헌을 했지만, 어떤 건반 작품도 이전에 이렇게 분명하게 양쪽 요소들을 함께 표현하지는 못했다.
상대적으로 엄격한 형식 -대미를 장식하는 피날레 이전의 주제와 변주-은 슈만만의 전형적인 것은 아니지만, 슈만의 많은 피아노 음악이 E.T.A 호프만(E.T.A. Hoffmann)과 장 폴(Jean Paul) 작품들과 긴밀한 문학적 연관을 맺고 있다. 꿈꾸듯이 내성적인 "유세비우스(Eusebius)"와 소란스러울 정도의 외향적인 "Florestan(플로레스탄)"과 같이 자신의 음악안에 반대적인 세력을 함께 등장시킴으로써, 슈만이 자신을 위해 고안했던 대조적인 변종의 자아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초기 시기에 잠복된 채 드러난다. 1837년의 첫번째 버전에 있는 원 제목은 Etueden im Orchestrercharaker fuer Pianoforte von Florestan und Eusebius 였고, 각각의 변주곡의 성격은 쉽게 이 두 개의 독특한 개성과 연결 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슈만의 감수성 강한 그의 인생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이 작품의 주제가 분명하게, 잠시동안 슈만의 약혼자였던 Ernestine von Fricken의 아버지에 의해 쓰여졌다는 사실에서 그렇다.
이 작품은 출판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오랫동안 슈만을 따라다녔는데, 1852년에 슈만은 "Etudesen forme de variations" 이란 새로운 제목아래 보다 정교하게 두 번째 버전으로 이 작품을 개작했는데, 이 두 버전 중에서 두 번째 버전이 보다 자주 연주되고 녹음되었다. 복잡한 문제는 더 심화되어, 1834년 원고에는 슈만이 결국 나중에 이 작품에서 빼기로 결심한 5개의 변주곡을 포함하고 있는데, 1873년 이후에나 출판된다. 항상 그렇듯이 이 곡에 대해선 피아니스트들 누구나 이 "여분의" 변주곡을 포함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고민한다. 이번 레코딩을 위해 미하일 플레트네프는 그 여분의 변주곡 가운데, 음악적으로 특별히 확신하는 순서배치로, 변주곡 VIII의 위치에 변주곡 VII를 놓고 다음 새로 선택한 두 곡, 5번과 1번을 추가하기로 선택했다.

"어제 나는 당신의 훌륭한 환타지를 받았어요" 라고 클라라 비크(Clara Wieck)는 로버트 슈만에게 1839년 5월 23일 썼다. "저는 오늘 아직도 반쯤은 들떠 있습니다." 아무리 로맨틱한 작품이라 하더라도, Op.17 환타지 만큼, 슈만처럼 그토록 강렬한 감정적 충격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작곡가의 작품은 거의 없다. 클라라의 아버지 프리드리히 비크(Friedrich Wiech)가 이미 10대의 나이에 피아노 신동으로 경력을 풍성히 하고 있는 자신의 딸을, 그 딸과 사랑에 빠진 안정적이지 못하고, 성격 급한 작곡가로부터 떼어놓게 하려고 결심 했을때가 바로 이때라 이 곡은 슈만의 클라라에 대한 의사소통의 직접적인 형식을 보여준다. 클라라를 볼 수 없었던 슈만은 오직 음악을 통해서만 자신의 감정을 그녀에게 확신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커플은 마침내 1840년 9월 12일, 클라라의 스물 한 번째 생일이 있기전에 결혼한다.
환타지는 음악적인 요소와 음악외적인 요소 모두와 관계되어있다. "quasiuna fantasia"라고 명기된 베토벤의 2개의 op.27 소나타는, 슈베르트의 "방랑자(Wanderer)" 환타지와 함께 이 작품의 가장 분명한 전조작품으로 슈만은 베토벤에 헌정하는 것으로, 주요 3개의 악장을 구현했다. 첫 악장 끝에서부터 베토벤에서 따온 직접적인 인용 - 송 서클인 An die ferne Geliebte ("멀리있는 사랑하는 이에게")에서 부터 아주 적절하고 충분히 따온 멜로디 - 이 있는데, 이 작품의 마지막에 다시 인용된다. 슈만은 또한 음악적 "기호"를 클라라를 위해 창안하기도 했는데 - 환타지를 여는 다섯개의, 한음에서 한음으로 순차적으로 떨어지는 음정들의 멜로디 - 이는 슈만의 무수한 작품들에 배어있다.
사실 온전히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으로 돌아간 슈만의 환타지 는 이전의 모델들을 잘 따르고 있다. "실제 환타지한 상상과 열정으로 전체에 걸쳐 연주하며(Durchaus phantastisch und leidenschaftlich vorzutragen)" 라고 명시된 랩소디의 오프닝 악장은, 전체적으로 개인적인 감정의 세계를 창조하는 템포의 이동과 플레그멘테이션 그리고 침묵으로 가득차 있다. 세 겹 형식의 두번째 악장은 위풍당당한 행진곡이다. 마지막의 느린 악장은 슈만이 이전에 작곡한, 황홀하고, 희열에 넘치는 결론으로 이끄는, (사실 많이 있지만) 가장 아름다운 작품가운데 하나로 사랑의 노래다.
다섯개의 Albumblaetter (앨범 악편) 은 슈만의 op. 99처럼 출판되어, Bunte Blaetter라 명명된 일련의 소품 부분을 구성한다. 이 작품은 슈만이 각기 다른 시기에 작곡한 피아노를 위한 많은 소품들을 함께 담고 있다: 1841년 처음 출판된 Albumblaetter, 1838년의 2번과 5번, 그리고 1839년의 4번이다. 첫 번째 작품은 교향적 연습곡 의 주제와 심히 흡사한데 단순하고 음울한 작품으로, 변주곡의 기본 구성처럼, 나중에 클라라 슈만과 슈만의 헌신적인 젊은 제자 브람스 모두가 사용했다 - 브람스는 슈만이 본(Bonn) 근처 엔덴니스(Endenich)에 있는 정신병원에 입원했고 나중에 거기서 죽을 때까지도 슈만의 생일 선물로 그리고 헌정으로 op.9 세트를 작곡했다. 두 번째 곡은 야성적이고, 마녀 같은 성격의 단편으로 원래는 "Fata Morgana"라고 이름붙여 있었고 세 번째 곡의 왈츠 성격의 곡은 카나발의 부분으로서 본래의 성격을 잘 드러내는데 슈만은 원래는 포함하지 않으려고 결심했던 곡이다. 4번은 본래, "Jugendschmerz(젊음의 고통)" 이란 이름이 붙었는데 슈만이 한 두 번 경험했던 젊음의 고통에 대한 곡이고, 마지막 곡은 기지넘치고, 슈만의 Kinderszenen 과 다른 가곡을 연상시키는 노래 성격을 지닌다.
슈만의 아라베스크는 집안에서 연주하도록 의도된 "실내음악(Hausmusik)"의 가장 정갈한 예의 하나다. 이곡은 환타지 나 클라이슬러리아나 처럼 1838년으로 연도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보다 규모있고 더 대가적 작품들속에서 격렬한 감정적 증거를 보이는 것 대신에, 조용하고, 보다 내재적 모습을 보인다. 슈만은 제목으로 "아라베스크"를 사용한 첫번째 작곡가인데 나중에 드뷔시나 다른 작곡가들이 이 제목을 취한다. 이 작품은 언어가 주는 시각적 장식을 상세하게 반영한다: 주요 주제는 우아한 음정과 겹겹이 풍부한 짜임새로 독특하게 꾸며져 있다. 우아하고 느릿한 리듬의 오프닝 주제는 아주 보기드물게 아름다운 악절(passage)로 되돌아 오기 전까지, 더 활발하게 펼쳐지는 에피소드와 대조를 이룬다. 그러나 아마 가장 마음을 사로잡는 순간은 범상치 않은 코다로, 그렇지 않았으면 다소 편안한 소품에 그쳤을 이 작품을 슈만이 항상 최고로 구현했던 공상적이고 초자연적인 영역으로 부상시킨다.

Jessica Duchen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bbado 2004-08-29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www.aladdin.co.kr/music/catalog/music.asp?UID=1633349185&ISBN=2482436473
알리딘에서 좋은 음반 싸게 파네요~*^^*
 

This Stravinsky set of ballet music has it all: a conductor famous for his attention to detail, world-class orchestras, audiophile sound, and a price that is easy on the wallet. All but one of these recordings were justly praised in their initial releases; the exception, a never-before-released sparkling rendition of Jeu de Cartes, should have been issued, for it is one of the very best. Of the lot, Riccardo Chailly's gripping, urgent 1985 account of Le sacre du printemps merits inclusion among the great performances of this piece on disc. Not only does it remain a demonstration-quality disc (with a bass drum part that rivals the most explosive offerings from Telarc) but it also highlights the unflappability of the redoubtable Cleveland Orchestra. Take the "Sacrificial Dance" of Part 2, for instance: the rhythmic precision is so uncannily taut that we can hear through the unbridled savagery of this complex music right to the heart of the score--no mean feat.


The rest of the two-disc set is given over to Chailly and his beloved Concertgebouw, which yields nothing to its Cleveland counterpart. In the 1945 Firebird Suite (with reduced forces), Chailly and the Concertgebouw dwell successfully on the score's luminous textures, especially in the various Princess dance sections, achieving a remarkable transparency and lightness. At the same time, they pull out the stops in a sudden burst of sound with the entrance of Katschei's infernal dance. Chailly's Petrouchka is nothing less than stellar, with great solos from the trumpet and flute allied with a general orchestral virtuosity that yields a white-hot performance.


Recorded in 1996, the Jeu de Cartes conveys just the right amount of wittiness (how can you help but smile at the collision of Rossini and Beethoven in the quicksilver Presto of the third "deal"?) and yet again, the clarity and rhythmic control are simply staggering. Inner voices in the strings that are meant to be merely background to the action reveal nuances that are not often heard in other recordings. Finally, the Concertgebouw's sonorous strings offer a rather full-bodied, lush Apollon musagète, probably more "romantic" and ardent in conception than others (including Stravinsky's own). Concertmaster Jaap van Zweden's solos come across exceptionally well, full of lyricism and introspection. [5/10/2003]


--Michael Liebowitz



예술성: ★★★★★

음질: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erbert Blomstedt's Beethoven cycle with the Staatskapelle Dresden is one of the great ones, as much for the magnificent playing of this finest of all German orchestras as for Blomstedt's effortlessly musical interpretations. The only possible weak link here might be the first movement of the Fifth, which lacks the sheer intensity that, say, Carlos Kleiber brings to it. On the other hand, Blomstedt's more emotionally balanced conception is so well realized that I'm inclined to give him credit for bringing off an unconventional interpretation, particularly as the remainder of the symphony lacks for nothing in excitement or sheer power.


Highlights of this cycle are many: a grand and glorious Eroica, a lithe and lyrical Second and Fourth, a pellucid Sixth with luminous wind playing, an exciting Ninth sporting fantastically buoyant strings in the Scherzo and a marvelously well sung finale, and a transcendentally great performance of the Seventh, with rip-roaring horns and perfect pacing throughout. The recordings, made in Dresden's Lucaskirche in the late 1970s and early '80s, put a silvery sheen around the players (winds especially) and strike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clarity and warmth. At the Brilliant Classics price, you can't afford not to own this set. [6/23/2002]


--David Hurwitz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bbado 2004-08-29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D’excellents enregistrements des années 1975-80, impeccablement dirigés par le maître Herbert Blomstedt avec la superbe Staatskapelle de Dresde : que faut-il de plus ? Un livret d’accompagnement, qui vous apprendrait quoi que ce soit que vous ne sauriez déjà ?? Puis quoi encore ??? Pour les neuf symphonies de Beethoven ???? À ce prix imbattable ????? Avec une Neuvième chantée par Theo Adam et Peter Schreier ?????? Non, trois fois non ! Cliquez sur le bouton “commande” !! Sans attendre !!! Buy now !!!! Une glace à la pastèque (deux boules) offerte aux dix premiers acheteurs (envoi par la poste au tarif lent).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bbado 2004-08-26 2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자 성악가 중에 이리도 이쁘신 분은 흔치 않지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