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고창,유네스코지정 생물권보전지역>슬로시티21

 

 

'유유자적한 도시, 풍요로운 마을'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치타슬로(cittaslow)의 영어식 표현이다. 1986년 패스트푸드(즉석식)에 반대해 시작된 슬로푸드(여유식)운동의 정신을 삶으로 확대한 개념으로, 전통과 자연생태를 슬기롭게 보전하면서 느림의 미학을 기반으로 인류의 지속적인 발전과 진화를 추구해 나가는 도시라는 뜻이다. 이 운동은 이탈리아의 소도시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ti)의 시장 파울로 사투르니니가 창안하여 슬로푸드운동을 펼치던 1999년 10월 포시타노를 비롯한 4개의 작은 도시 시장들과 모여 슬로시티를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유럽 곳곳에 확산되기 시작했고, 2009년 7월 현재 세계 16개국 110여 개 도시가 가입돼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슬로시티 [Slowcity]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공해 없는 자연 속에서 그 지역에 나는 음식을 먹고, 그 지역의 문화를 공유하며, 자유로운 옛날의 농경시대로 돌아가자는 느림의 삶을 추구하는 국제운동. 1986년 패스트푸드에 반대해 시작된 여유식(슬로푸드) 운동의 정신을 확대하면서 만들어진 개념이다. 2002년 7월 이탈리아의 작은 도시 그레베의 시장으로 재직 중이던 파울로 사투르니니씨가 마을 사람들과 세계를 향해 '느리게 살자'고 호소하면서부터 유럽 곳곳에 확산되기 시작했다.[네이버 지식백과] 슬로우시티 [Slow City]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

 

우리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흥미를 갖는 도시, 훌륭한 극장·가게·카페·여관·사적, 그리고 풍광이 훼손되지 않은 도시, 전통 장인의 기술이 살아 있고 현지의 제철 농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도시, 건강한 음식·건강한 생활·즐거운 삶이 공동체의 중심이 되는 도시를 추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슬로시티와 슬로푸드 (살아있는 지리 교과서, 2011.8.29, 휴머니스트)

 

이런 도시가 우리나라에 존재하기 어려운 환경 속에 있다. 새마을 운동을 통해서 느림은 개으름으로 낙인이 찍혀서 없어진지 오래다. 문화유산은 아파트문화로 전락했다. 나머지는 농촌에 있는 몇 곳이지만 찾기 어렵다. 다행인 것은 내가 살고 있는 고장이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이라는 것이 위한이 된다. 그곳에서 슬로시티21을 진행하려고 한다. 바다와 산과 1000년의 고찰들과 선사문화와가 숨 쉬는 곳, 그곳에 3000년의 역사가 있는 마카를 심어서 찬란한 문화를 만들어갈 창의적인 사고를 간진 사람이 있다. 이런 곳에서 슬로시티는 시작된다. 지금은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그것에 기쁨이 있는 삶을 사는 것이다. 고창에는 아직도 전설의 고향에나 나오는 구암 신선할배가 살아 숨 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 국가의 탄생 - 베트남 전쟁부터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고삐 풀린 미국의 전쟁사
레이첼 매도 지음, 박중서 옮김 / 갈라파고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를 개인적으로 좋아해서 이곳에서 나온 책을 믿고 읽습니다. 전쟁과 국가라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꼭 읽어봐야 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독교가 아니 목회자가 비지성을 자랑할 때가 있었다.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성령님의 역사하심을 믿는 외곡되 표현이었다.

그로 인해 기독교는 타락하게 된다.
목회차의 지성이 요구되고 그래야 기독교에 희망이 있다. 공공신학적 삶이 되어야 한다. 공부하지 않고서 바른 교회를 세워가는 것은 불가능 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독교가 아니 목회자가 비지성을 자랑할 때가 있었다.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성령님의 역사하심을 믿는 외곡되 표현이었다.

그로 인해 기독교는 타락하게 된다.
목회차의 지성이 요구되고 그래야 기독교에 희망이 있다. 공공신학적 삶이 되어야 한다. 공부하지 않고서 바른 교회를 세워가는 것은 불가능 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독교가 아니 목회자가 비지성을 자랑할 때가 있었다.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성령님의 역사하심을 믿는 외곡되 표현이었다.

그로 인해 기독교는 타락하게 된다.
목회차의 지성이 요구되고 그래야 기독교에 희망이 있다. 공공신학적 삶이 되어야 한다. 공부하지 않고서 바른 교회를 세워가는 것은 불가능 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