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보는 차마 신이 없다고 말하기 전에
박영덕 원작, 크레마인드 글.그림 / 생명의말씀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번 책장을 여닫은 후가 되니 믿음이 조금 성장한 느낌이 든다. 
어질러진 내 방에 필요한 것이 가득한데 조금 정리정돈된 것과 비슷한 것 같다.
신으로 부터 시작해서 기독교, 하나님, 예수님, 나로 이어지는 연결속에서 내 종교관이 한층 정립(正立)됐다.
확실히 비유 곧 이야기는 이해를 돕는 데 탁월한데 그것이 책 곳곳에 가득하여 보는 재미가 났고, 깨닫기까지 해버렸다.
물론 같은 하나님을 믿는 나이지만 의아한 부분이 없지 않았다.

구원을 쉽게 얻는다는 것.
아무튼 만화란 너무나 책장이 가벼워서 누구나 부담없이 펼치고 닫을 수 있지만, 그 안에는 백개의 글 못지않은 내용이 분명히 있다.
내게 <미생>, <내부자들>, <이끼>, <인천상륙작전>의 윤태호 작가가 그렇고, <식객>의 허영만 작가 더 나아가 다양한 만화로 부터 느낀 것이 그렇다.

모든 것에는 일장일단이 있기 마련이다.

만화는 내용 전달에 있어 글보다는 상세히 하는 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할말은 10개인데 그 10개를 다 하다보면 그림이 설 자리가 없고, 그림이 없어지면
만화의 색을 잃을 것이다.  

그러나 만화는 가진 단점보다 장점이 훨씬 크다고 믿는다.
무엇보다 대중성.

대중성이 있어야 사람들이 찾고, 사람들이 찾아야 작품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만화가 으뜸아닌가.
이야기가 삼천포로 샌 것 같은데 한마디로 이 책은 기독교를 믿지 않는 사람도, 믿는 사람도 한번쯤 읽으면 유쾌하며 유익한 좋은 기독교 책이 될 것이다. 

고로 읽게 되어 기뻤고, 한번 더 읽을 것이다. 반드시.

실제로 유신론자나 무신론자 모두 믿음을 가지고 있다.
신이 있다고 믿으면 유신론자가 되고, 신이 없다고 믿으면 무신론자가 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라크마 2017-11-15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번 더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