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사도들 - 최재천이 만난 다윈주의자들 드디어 다윈 6
최재천 지음,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윈의 사도들

최재천 ㅣ 다윈 포럼 기획 사이언스북스

 

이 책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최재천'과 '찰스 다윈'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책에서 인터뷰한 세계의 많은 학자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찰스 다윈'은 19세기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지질학자이며생물 종의 다양성과 생명체의 정교함을 설명하며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 개념을 도입하며 인류의 사고를 혁명적으로 바꾼 인물이다책의 저자이며 다윈 포럼의 대표인 '최재천'은 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 과학부 석좌 교수이며 한국 사회에서 행동 생태학과 진화 생물학을 개척하고 '통섭개념을 정착 시킨 학자이다책은 다윈을 향한 최재천 교수의 사랑 고백처럼 다윈에 대한 애정이 느껴진다.

 

책 속 열두 명의 학자들을 매료시킨 '다윈주의'는 생물진화에 관한 '자연도태설'을 중심으로 한 다윈의 학설이다생물은 환경에 적응하면서 살아나가는데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변이가 일어나면서 종에서 변종이 생겨난다그리고 생존에 유리한 변이를 보이는 개체가 자연계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고이 변이는 유전되며여러 세대를 거쳐 계속 도태됨으로써 작은 변이가 누적되어 새로운 성질보다 고도로 적응한 성질을 갖는 생물이 생겨나면서 새로운 종으로 분화한다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관계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접근하며 통찰할 수 있다.


 

다윈의 진화론은 철학적이며 사회학적이다또한 많은 논란과 성찰을 불러온다이해하기 쉬운 듯 하지만 또한 어렵다그래서 최재천 교수가 인터뷰한 다윈의 열두 제자들의 대담이 읽기 어려울 수 있을 거란 오해를 하였다하지만 저자가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는 학자인 만큼 쉽게 술술 잘 읽힌다물론 모든 학자들의 인터뷰가 다 잘 읽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인상적인 다윈의 사도는 [개미와 공작]의 작가 헬레나 크로닌이었다. 1942년 영국에서 태어난 그녀는 철학을 전공했으며과학사와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옥스퍼드 대학교 동물학과의 방문 연구원을 지냈다헬레나 크로닌은 동물 행동학인간 행동학다윈주의페미니즘성 선택 이론과 같은 진화 생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그녀의 대담 중 성차와 여성차별에 대한 내용이 흥미로웠다그녀는 남녀의 차이는 존재한다고 말한다이는 어쩌면 더 나은 유전자기 존재한다는 사실처럼 우리가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일 것이다하지만 우리가 반박할 것은 과학이 아니라 불평등이며성적 차이가 아니라 성차별주의라는 그녀의 확신에 찬 주장은(p.85)은 옳은 것이다또한 능력을 성과 관련하여 연계하지 말아야 한다는 그녀의 주장도 타당하다차갑지만 정확한 지적이라 그녀가 늘어놓은 말들에 수긍이 간다여성을 돕는 최고의 방법은 차이를 부정하지 않고 인정한 채 차이를 좁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p.91)이라는 해결방법도 각도가 큰 고개짓을 불러온다대결이 아닌 함께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최재천 교수는 책의 앞부분에 배치된 '발간사'에서 다윈 포럼을 후원하고 거의 15년이란 세월 동안 묵묵히 기다려준 출판사 '사이언스북스'에 감사를 보낸다이렇게 멋진 책이 출간된 것은 저자의 감사처럼 학문을 위한 출판사의 변함없는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다윈을 더 깊이 이해하고과학의 명쾌함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준 최재천 교수의 노력과 사이언스북스에 대해 나도 감사함을 느낀다다윈과 과학의 다양한 변화현시대의 수많은 학자들에 대해 알고 싶다면 지금 이 책 다윈의 사도들』 의 책장을 빨리 넘겨보길 권하고 싶다.

 

▶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를 통한 사이언스북스지원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