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와 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 7
조르주 상드 지음, 조재룡 옮김 / 휴머니스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들이 모르는 그녀의 시간을 질투하고통제하려 했기에 그들과 그녀는 불행해진다언제나 지나친 욕심과 부족한 믿음이 문제이다하지만 믿지 못하는 사람의 잘못만은 아니다그러니 사람과의 관계에서 '믿음'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닫게 된다.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았던 것 마냥 파머가 상처 받아 떠나버리자 둘 사이를 응원한다던 남자는 사라지고 테레즈에게 애정을 요구하는 로랑의 칭엉거림이 다시 시작된다그리고 여지없이 테레즈는 그를 받아들인다파머와 테레즈가 결혼을 하였더라도 그들 주변에 로랑이 존재했다면 그들 모두는 불행했을 것이다그리고 파머는 그걸 참아낼 끈기가 사랑의 힘보다 부족함을 깨달아서 떠났을 것이다.

 

로랑과 테레즈의 관계는 서로를 고통 받게 하고그들은 곧 고통에 익숙해지게 된다그들은 고통을 사랑이라 착각한다그녀로 인해 받은 고통은 그에게 창작의 결과를 가져오고그의 예술적 성과를 지켜보며 그녀는 자신이 예술적 영감을 주는 존재가 된 것이라 생각하며 의미를 두는 것이다.

 

조르주 상드가 뮈세와의 사랑에 관해 자신의 관점에서 썼다는 [그녀와 그]는 철저히 상드 위주의 서술이다그녀 스스로는 넘치는 매력과 모성 본능으로 상대를 감씨며 상황을 잘 해결하려 했는데 소유욕이 강하고의심과 질투가 많은 두 남자가 결국은 관계를 어긋나게 했다는 변명으로만 들려서 불편하기도 했다뮈세의 [세기의 사랑]을 읽어보아야 겠다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가 될 것 같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영부인에게 선물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