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쓰레기는 재활용되지 않았다 - 재활용 시스템의 모순과 불평등, 그리고 친환경이라는 거짓말
미카엘라 르 뫼르 지음, 구영옥 옮김 / 풀빛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스틱블랙박스_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사라진 것은 아니다

 

1999년 개봉한 [아메리칸 뷰티]에는 '흰 비닐봉투'가 날아다니는 유명한 장면이 있다바람 부는 대로 날아다니는 비닐봉투를 통해 '사물 이면의 것'에 대해 인물은 서술한다당신의 쓰레기는 재활용되지 않았다의 저자 미카엘라는 샘 멘데스 감독의 [아메리칸 뷰티]의 이 장면을 언급하며 우리에게 보이는 대로 보지 말 것을 경고한다.

 

베트남 북쪽 지역에 위치한 '민 카이 마을에는 천 통 분량의 컨테이너가 매일 들어갔다 나왔다를 반복한다컨테이너에는 쓰레기가 가득 실려있고내려진 쓰레기는 공장에서 사람들의 손을 거쳐 일일이 해체가공된다우리가 보아야 할 이면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저자가 민 카이에서 본 쓰레기들은 영어가 이곳저곳에 새겨진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 포장지였다영어가 새겨진 포장지는 영어권 국가에서만 발생하는 것일까세계화 시대 공통의 언어가 새견진 것 뿐이지 만들어지고사용되는 곳은 다양하다무역으로 거래되어 민 카이에 모여진 이 쓰레기들은 재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의 원료가 될 수 있는 것들일까세계의 쓰레기들이 한 곳에 모여 분류되는 것은 공정한 것일까이것은 환경적 문제일까정치적 문제일까?

 

우리가 일상적으로 소비하면서 버린 재료들이 우리 눈에서 멀리 치워진다하더라도 민 카이에서는 더 잘 보이게 된다면 쓰레기 문제가 해결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