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발의 세계사 - 왜 우리는 작은 천 조각에 목숨을 바치는가
팀 마샬 지음, 김승욱 옮김 / 푸른숲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깃발의 세계사

팀 마셜 ㅣ 김승욱-옮김 구정은-해제 ㅣ 푸른숲

 

어느 날 부터 광화문 광장에 가게되면 펄럭이는 국기들과 가슴과 가방에 매단 국기들까지 많은 국기를 볼 수 있게 되었다그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태극기와 성조기를 자신들의 이념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선택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하지만 우리의 태극기와 저 먼 나라의 성조기가 나란히 고성과 아수라장 사이에서 흔들리는 모습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그들은 왜 태극기를 자신들의 정치이념에 사용한 것일까왜 그들에게는 깃발이 필요했던 것일까광화문의 펄럭이는 깃발에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해서 이 책 깃발의 세계사를 들춰보았다.

 

팀 마셜의 깃발의 세계사』 는 각 나라를 대표하는 작은 깃발인 '국기'가 만들어진 과정과 국기에 담긴 상징들을 풀어놓고 있다여러모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두 나라인 미국과 영국의 국기가 개별 챕터를 차지한다성조기와 유니언잭이 다른 나라의 국기들보다 더 세세하고더 의미를 두어 설명되는 것은 저자의 선택이겠지만다소 불편함도 느껴졌다혹여나 우리나라 국기는 이 많은 국기들 중 소개되지 않았으려나 하는 불안감에 목차를 먼저 뒤져보게도 되었다다행히 세 페이지 분량으로 남북한의 국기가 소개되어 있어 흐뭇함도 느꼈다.

.

.

 

별이 빛나는 깃발 /성조기

 

저자는 성조기를 이 세상에서 가장 유명하고가장 큰 사랑과 증오와 존경과 두려움과 찬탄의 대상인 깃발(p.31) 이라고 표현한다자유를 상징하는 깃발로 기억되는 성조기는 우리에게 태극기 만큼 친근한 국기이다그만큼 많이 노출되었으며우리와 미국이 많은 면에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미국인들은 성조기를 존중하기도 하지만다양한 예술작품에 이용하기도 한다우리가 태극기를 경건하게 여겨 거리를 두는 것과는 다르게 성조기는 예술가들의 아이콘으로음반의 재킷 사진으로도 이용되어 더 대중적이게 느껴진다신성한 상징으로도 생각하지만 거리를 두지 않고 가까이 느끼게 함은 배울 자세인 것 같다.

 

미국을 대표하고미국의 막강함을 보여주며 세계 여러 곳에서 펄럭였던 성조기의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사실은 웃픈 아이러니다(p.59). 중국은 세계의 모든 물건을 만드는 나라인가 보다미국과 중국이 경제적인 문제로 각을 세우고 있는 실정에서 어째 미국이 살짝 굴욕감을 느낄만한 일이다미국에서 국기는 커다란 사업 아이템이라고 한다그걸 중국이 장악했다하니 미국 내의 국기 제조업체들과 주지사들은 이 시장에서 이기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한다또한 미국에서 생산된 미국 국기만 판매해야 한다는 법률을 통과시키거나 제정할 예정이라 하니 심각성을 알 수가 있다.

.

.

이스라엘 국기와 시오니즘

 

유엔의 193개의 회원국 중 3분의 1이 종교적 상징이 들어간 국기를 갖고 있다이 64개국 중 절반의 국기에는 그리스도교 상징이 들어가고, 21개국 국기에는 이슬람과 관련된 상징이 들어간다유대교 상징을 사용하는 나라는 이스라엘뿐이다.

 

얼마 전 팔레스타인과 유대인의 100년간의 영토 전쟁에 관한 책을 읽었기에 이스라엘 국기에 대해 더 호기심이 일었다유대인은 팔레스타인에 정착하며 그 땅에 '이스라엘'이라는 나라는 1948년 5월에 건국한다나라가 건국되었으니 그 나라를 대표하는 국기도 필요했다그들은 자신들의 국기를 '시온주의운동'의 깃발을 기본으로 하여 만든다.

 

'시온주의'는 팔레스타인(시온의 땅)으로 귀환하고자 하는 운동이다이를 위해 유대인들은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던 유대민족들을 이 땅으로 결집시키고이 땅에 정착해 있던 팔레스타인인들을 몰아내기 시작했다이스라엘 국기는 이슬람 상징들을 사용하는 거대한 부채꼴 모양의 땅 한복판에 자리 잡고 있다이는 누군가에는 불편함을 초래한다이스라엘이 나라를 대표하는 자신들의 국기를 '시온주의운동의 깃발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었다는 것은 이슬람 국가들을 팔레스타인인들을 몰아내었듯이 몰아내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다소 지나치고 억지스러운 해석일 수도 있지만 저자의 의견에 동의한다.

.

.

하나의 반도하나의 민족천양지차인 남북한기

 

한반도에는 하나의 민족이 살고 있지만두 개의 나라가 공존하며 두 개의 국기가 있다남북한이 나뉘기 전에 사용하던 '태극기'는 지금 우리를 대표하는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태극기의 '태극문양은 음양을 상징하며조화와 균형을 지향한다태극기 네 귀퉁이의 괘는 하늘물 과 불을 상징하며 지구의 모든 것을 대표한다또한 하얀 바탕은 순수와 청결을 의미하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준다우리의 국기는 자연과 우주의 조화와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함을 보여주고 있다자랑스럽고 멋진 태극기임을 새삼 다시 깨닫는다하지만 태극기의 철학적이고 사상적인 해석을 북한은 비과학적이고 미신적이라며 국기로 쓸 수 없다고 했다그래서 함께 사용하던 태극기는 남쪽 나라만의 국기가 된다.

 

냉전시대 하나의 반도하나의 민족몹시 다른 두 깃발이 둘을 하나로 섞기는 아주 힘들었다국제적인 장소에서나 서로의 국가에서 상대의 국기가 펄럭이거나 국가를 연주하는 것에 대해 금지하거나 거부했기 때문이다이를 두고 저자는 가족간의 다툼이 가장 격렬하다고 서술한다적절한 비유이다.

.

.

깃발의 세계사』 에는 많은 국가와 단체의 깃발에 대해 그들이 가진 상징성을 재미나게 알려준다어렵지않게 국제 정세와 나라에 대해 알 수 있다왜냐하면 저자의 표현처럼 우리는 천 조각 하나에 여러 이념을 담고 있으며 소중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작은 천조각이지만 거대한 나라들을 대표하는 국기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서 여러 각도로 흥미롭다.

 

출판사도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