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100년 전쟁 - 정착민 식민주의와 저항의 역사, 1917-2017
라시드 할리디 지음, 유강은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Start -p.144

 

우리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을 바라보는 시선이 얼마나 서양 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 새삼 다시 깨닫는다그들의 충돌을 종교적인 이유라고 생각했다이렇게 긴 역사를 가진 분쟁이라고 생각하지도 못했다또한 그들의 모습에서 일제시대 우리 민족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더 안타까웠다무지와 자주국권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다시 깨닫는다.

 

대다수의 팔레스타인인이 소유하고생활하는 땅에서 그들을 몰아내고그곳을 자신들 민족의 터전으로 삼으려는 계획을 실천하게 했던 유대인들의 '시온주의'는 열강들과 자신들의 이익만 꾀하려 했던 주변 아랍국들에 의해 가능했다하지만 가장 큰 잘못은 돌아가는 세계 정세를 알아차리지 못하고상황을 너무 안일하게만 생각했던 팔레스타인 본인들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 은 1717년 오스만 제국과 영국의 전쟁으로 시작한다이 전쟁의 승리로 영국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이후 영국은 '밸푸어 선언'으로 유대인이 벌이는 시온주의를 공식적으로 지지하며 팔레스타인 문제의 발단이 시작된다아랍과 유대인들의 오랜 갈등은 어찌보면 영국의 이중적인 모습 때문에 야기된 문제라고도 볼 수 있다.

 

이후 팔레스타인은 아랍 팔레스타인의 독립밸푸어 선언 거부다수결 원칙 지지무제한적인 유대인 이민 유입과 토지 매입 중단 등을 영국에 요청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이에 다양한 폭력 사태가 발생하고 영국은 가혹하게 진압하며 골은 점점 더 깊어져간다.

 

여러모로 억압을 받던 팔레스타인은 시온주의의 결정판인 '빌트모어 프로그램'으로 자신들의 땅을 두고 난민이 되고세계2차 대전의 영향으로 시온주의는 열강들의 지지를 얻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게다가 1947년 11월 29유엔 총회는 팔레스타인을 분할하여 넓은 유대 국가와 좁은 아랍 국가로 만들 것을 요구한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