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MIDNIGHT 세트 - 전10권 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세트
프란츠 카프카 외 지음, 김예령 외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요절한 예술 천재로 항상 회자되는 인물 다자이 오사무. 그의 대표작 [인간 실격] 속 인물 '요조'는 작가 본인의 모습이 투영되어 보인다. 여섯 번째 아들이라는 애매한 위치와 지주 집안이라는 굴절된 죄책감으로 자기혐오에 빠졌던 다자이 오사무는 항상 자살 충동에 휩싸여 여러 번의 자살 시도를 자행하다 결국 스스로 생을 마감한다. 그가 자살하기 한 달전, 이 작품 [인간 실격]을 탈고하였다 하니 작품은 그의 유작이며, 그를 죽음에 이르게한 고뇌가 담겨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지 못하여 힘겨웠던 한 남자의 수기를 통해 다자이 오사무에게 다가가 볼 수 있었다.

 

배고픔과 가난을 모르고 보낸 부유한 유년기와 뛰어난 두뇌로 공부 잘하는 학생이었던 소년기를 지나 술-담배-여자 등과 얽힌 타락한 청년기 후 결국 정신병원에 감금되는 기구한 청년 요조. 타인을 이해할 수 없고, 인간 세계에 자신이 함께 할 수 있는 자격이 없다고 느끼는 요조는 매순간이 괴롭다. 괴로움은 그에게 마약과 자살을 반복하게 하며 죽음만을 기다리게 한다.

 

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없어 힘겨워하던 요조는 세상과 함께하기 위해 '익살꾼'이 된다. 하지만 타인을 이해할 수 없는 익살꾼은 매순간 혼란스럽고 경직된다. 내가 느끼는 감정과 나 이외의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이 다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미치기 일보 직전인 요조는 하루하루를 '그냥' 살아가는 사람들이 부러웠을 것이다. 모두들 쉽게 나누는 일상의 대화가 자신은 땀을 뻘뻘 흘릴만큼의 공포인데도 그는 인간들과의 관계를 포기하지 못한다. 가짜 웃음은 사람을 더 빨리 소진시킨다. 모두와 다른 것이 창피한 것이 되어 버린 세상에서 나말고는 모두 이해하는 그것을 나만이 이해할 수 없음을 느끼며 요조는 힘들다. 그리고 외롭다. 게다가 인간들의 모순적인 모습을 대할 때마다 요조는 혼란스럽다. 서로 속이고, 속이는 것이 당연하다는 듯 상처 입지도 않고, 서로에게 대면적으로는 산뜻하고 깨끗하고 밝고 명랑하지만 '불신'이 충만한 인간들. 모순적인 우리의 모습이다. 우린 그냥 다 그런거야 하고 넘어가는 것을 요조는 참아낼 수 없는 것이다. 그의 고뇌를 나열한 수기의 문장들을 대하며 창피함을 느꼈다. 요조가 함께 하고 싶으나 이해가 어려웠던 인간들의 모습을 나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격'은 기준에 미달되거나 초과되어 자격을 잃는 것을 말한다. 요조는 인간들에 의해 인간 자격을 실격 당한 것이 아니다. 스스로 인간의 자리를 내놓은 것이다. 모순적인 그들의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따르려 했던 것이 얼마나 덧없는 일인지 깨닫고 까짓거 인간 안 할래 라고 선언한 것이 아닐까 싶다. 요조가 '인간'의 세계에서 유일하게 깨달은 것 하나는 '모든 것은 지나간다는 것' 이다. 인간이 되기 위해 진땀 흘리며 발버둥치든, 관조하며 그들을 바라보든 시간은 제 할일을 한다. 스물일곱의 나이에 백발이 된 요조는 인간들을 이해하며 고뇌하기 보단 그냥 인간이 되지 않기를 선택해도 시간은 지나간다는 것을 깨닫고 인간이 되기를 멈춘다.

 

울고, 웃고, 화내고, 슬퍼하는 희노애락의 얼굴을 널뛰듯 휙휙 바꾸는 감정들이 얼마나 인간에게 소모적인지 알 수 있었다. 감정에 좀더 신중하고, 요조가 이해하지 못했던 인간의 이중적인 모습으로 살아가지 말아야겠다. 모순적 인간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창피함을 느껴야 하는데 오히려 그런 인간들처럼 뻔뻔하게 행동하지 못해서 힘들었던 순수한 요조가 나가 떨어질만큼 세상은 엉망이다. 우리 모두 인간 자격의 기준을 올리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냄새나는 세상에 환멸을 느끼는 또다른 '다자이 오사무'가 생기지 않도록 공기청정기를 24시간 돌려야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