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지음, 김선영 옮김 / 새움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2의고골 #가난의냄새

[가난한 사람들]은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도스토옙스키의 첫 작품이다. 작품이 발표되자 인물의 유사성 때문인지 고골의 [외투]가 회자되며 도스토옙스키는 제2의 고골이라는 찬사를 받았다고 한다. 작품 전반을 차지하는 '가난'의 냄새들은 지독하며 오래도록 악취를 풍긴다. 종종 환기되는 악취는 잠시 옅어지는 듯 하지만 사라지지는 않고 작품 속 인물들과 작품을 읽는 독자를 지치게 한다.

#가난한사람들

가난한 두 사람 바르바라와 마카르. 앳된 여인 바르바라가 악독한 친인척에게 몹쓸 일을 당하자 먼 친척인 나이많은 관리 마카르가 그녀의 도피를 도와 거처를 마련하고, 그 또한 그녀의 거처 맞은 편 초라한 공간을 얻어 곁에 머문다. 두 남녀는 서로의 가난을 측은해 하며 편지로 서로를 위로하지만 그들은 지독히도 따라붙는 가난을 떨쳐내지 못한다.

#조롱받는연대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바렌카에게 도움을 주고, 더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카르의 바람은 찌그러진다. 오히려 드문드문 바렌카에게 도움을 받게 되는 마카르. 가난한 그들의 서로를 향한 다독임은 주변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며 비웃음을 사고 추문이 된다. 추문은 그들의 얼굴을 붉게 물들이고, 그의 손에 술잔을 쥐어준다. 마카르와 바렌카에게는 가난보다 그들을 '걸레'만도 못하게 취급하는 사람들의 수군거림과 조소, 농담이 견디기 힘든 치욕이다. 그들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이 가난한 사람을 돕는다는 것이 자기 앞가림도 못하는 사람의 오만한 치기로 취급한다. 또한 가난한 사람들이 그저 굽신거리며 서글픔을 품은 감사의 눈으로 자신들을 바라보며 살아가기를 바란다. 마카르는 거리에서 만난 '고상한 거지'를(p.189)를 바르바라에게 묘사하며, 그가 추위에 얼었어도 계속 자기만의 방식으로 정직하게 일하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를 '고상한 거지'라고 칭할 수 있는 이유는 자신의 노동 가치와 쓸모에 따라 적은 돈을 벌긴 하지만, 굽실대지 않고 구걸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마카르는 재차 말한다 . 그러면서 자신도 그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는 만큼 일하고 있으니 자신도 자기가 자기의 주인이라고 생각하며 만족하지만 또다른 배고픈 작은 소녀를 도와주지 못하는 것이 괴롭다. 그는 좋은 사람인데 돈이 없어 좋은 사람이 되지 못한다. 그리고 그가 좋은 사람이 되면 주변은 그를 조롱한다. 그래서 가난은 어느 각도에서 바라보든지 힘겹다.

#가난은구걸하게한다

그들을 자괴감에 빠뜨리던 가난은 정서 업무를 하는 하급 관리를 불쌍히 여긴 각하의 선행과 아름다운 여인의 젊음을 원하는 나이 많은 부호의 제안으로 해결된다. 결국 그들의 가난은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는 해결 불가능한 것이었다. 가난은 마카르와 바르바라를 자기가 자기의 주인이 되지 못하게 한다. 정직하게 일해서 번 돈이 아닌 자신의 초라한 옷차림을 통해 얻은 돈과 나를 팔다시키 하며 성사된 결혼으로 얻은 돈은 구걸해서 얻은 돈이나 마찬가지이다. 가난은 좋은 사람 마카르를, 아름다운 사람 바르바라를 굽실대며 구걸하는 거지로 만든다. 그리고 그걸 바라보는 주변의 사람들은 그것이 그들이 올바르게 사는 방식이라는 듯 조롱을 멈춘다. 그래서 가난은 다시 한번 어느 각도에서 바라보든지 힘겨운 것이다.

#구걸을강요하는폭력

[가난한 사람들]을 통해 도스토옙스키는 그들에게 구걸을 강요하는 사회의 폭력을 비판한다.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은 불행하다. 그들이 살아가길 원하는 방식은 소박하다. 하지만 사회는 욕심내지 않고 정직하고 싶으며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 그들의 작은 염원조차도 용납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회 속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외롭고 힘겹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