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란 무엇인가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버라 H. 로젠와인 지음, 석기용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바버라 로젠와인이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을 통해 [분노란 무엇인가] 라는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분노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받아들이자는 것이다. 저자는 너무 찡그리며 화내기 보단...차갑게 인식하고 냉정하게 표현해야 한다고도 말한다. 그러려면 분노의 본질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분노를 잘 다스려야 나도, 내 주변도 상처받지 않기 때문에 불안하고 복잡한 지금 이 책은 우리에게 시의 적절하게 필요한 책이다.

'분노'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으로 평가받는다. 분노가 종종 파괴를 몰고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잘 참아내는 것을 미덕으로 배워왔다. 그런데 분노는 참는다고 조절되는 것이 아니었다. 분노를 참아내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차곡차곡 쌓이는 것이었다. 그리고 주로 약자들이 느끼는 분노에 대해 참기를 강요받아 왔다는 걸 생각해야 한다. 분노라는 감정이 차별 그리고 계급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깨우쳤다. 그렇다면 참는 것은 차별이고 잘못된 표현은 폭력이 될 수 있으니 우리는 온전히 느끼고 잘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리주의 관점에서 분노하는 자들이 많아지는 것을 막기위해 분노를 유발할 한 명을 처단하는 것이 옳은 것이라 할 만큼 분노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불편함을 드러냈던 중세 시대와는 다르게 분노를 좀 더 세분화하여 바라보는 시선으로 세상은 변하고 있다. 분노는 조건과 상황에 따라 미덕과 악덕으로 구분지어 질 수 있다. 분노를 올바른 때에 , 올바른 대상에게, 올바른 목적과 방식'으로 표현되면 괜찮다고 저자는 말한다. 수긍하는 부분이다. 분노를 느끼지 못하는 것도 한심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분노를 느낀다는 것은 잘못된 것, 불평등 한 것, 차별에 대해 인지한다는 것일 수도 있다. 문제는 힘을 가진 자가 개인적인 일로 인해 발생한 분노를 약자에게 퍼부어대는 것이 문제이다.

과학자들은 분노는 인간 본성의 근본 요소이며, 그것이 있었기에 종의 기원과 진화가 진행되었다고 본다.(p.273) 결국은 분노라는 감정은 인류를 환경에 적응하게도 했으며, 사회가 발전하게도 한 것이다. 저자는 또 말한다. ' 나의 분노'는 정당한 분노이며 '저들의 분노'는 정의로움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잘못을 우리가 지금 저지르고 있으며, 그것이 '불협화음'의 이유라고 말이다. 다윈이 다양성을 이야기 했듯이 서로 다른 감정과 생각이 존재하므로 분노가 발생하는 지점도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타인의 분노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이 유발된 문제점을 조절해 나간다면 모두에게 이로운 세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노는 세상을 바꾼다. 어느 방향으로든. 분노는 자신이 대하고 있는 상대나 세상이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순간 발현된다. 그런데 그 '잘못'을 느끼는 지점이 얼마나 정의롭고 정당한지에 따라 분노의 성격이 이롭고 해롭고가 달라질 것이다. 나의 분노가 이기적인 나의 치기는 아닌지..나의 분노가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것인지...나보다 작고 약한 존재를 향하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주의해야겠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