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란 무엇인가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버라 H. 로젠와인 지음, 석기용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p. 191
바르톨로메오는 감정이 심장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 아리스토텔레스를 따를 수 없었다. 대신 그는 "감정의 기원은 뇌에 있으며 그것이 심장에서 실행되는 것" 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이지도 갈레노스적이지도 않은 발상이었다.

● p. 219
전기 침이 찌를 때와 포식자에게 위협을 받을 때 고양이가 똑같은 쉿 소리를 내더라도 그 의미는 완전히 다를 수 있다. 실험실의 분노는 거리의 분노와 같지 않다.

 분노가 건강에 차지하는 역할이 크다고 생각했던 서구에서는 분노를 다스리고, 분노를 제대로 아는 것이 중요했다. 의학이 학문 분야로 자리매김하면서 철학과 신학에 합류하게 되고 몸에서 일어나는 것들을 다양하게 해석하게 된다.분노에 대해  신체적인 것이냐, 정신적인 것이냐, 뇌가 먼저 인지하고 심장이 반응하는 것이냐, 심장이 먼저 반응하고 뇌가 반응에 따라 인지하는 것이냐...등등 많은 연구와 이론이 넘쳐났다. 이론은 실험을 통해 증명해야 하는 것들이었다.

책에서는 분노는 사회 구성원의 해석이며,  사회성이 형성되지 않는 대상은 사회가 해석한 것을  내재화하여 분노를 다루게 된다고 말한다(p.201). 결국 사회 속에서 통용되는 분노를 나도 모르게 학습하고 학습된 지점이 발생할 경우  분노가 폭발한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환경의 차이는 분노를 유발하는 지점과 분노를 인지하는 지점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상황과 어떤 감정에서 그것을 '분노'라고 정의내리기는 어려운 것이다. 다양한 표정 맞추기 실험에서  분노로 분류한 표정을 실험자들이 서로 다르게 말함(p.206)으로 분노라는 감정이 하나의 지점으로 정의내리기 어럽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나는 지점이다. 이 부분을 읽을 때 정우성 주연의 영화 <증인>이 떠올랐다. 타인과의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 소녀 지우에게 지우의 엄마는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사진을 보여주며 감정을 학습시키고, 상황에 맞는 대처법을 알려준다. 지금 생각하니 그 방법이 자폐 소녀를 더 혼란스럽게 만들었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과 감정은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하였다. 저자는 분노는 다양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다양한 양식으로 표현되는 것도 당연한 것이라고 말하며, 그러니 감정 표현을 두고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것은 옳지않으며, '경직성'이  오히려 우리가 지양해야 할 자세(p.215)라고 말하고 있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도서를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