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란 무엇인가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버라 H. 로젠와인 지음, 석기용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p. 119
비결(즉, 고결한 분노에 이르는 길)은 "올바른 때에, 올바른 대상을 언급해서, 올바른 사람들을 향해, 올바른 목적을 갖고서, 올바른 방식으로" 화를 내는 것이다.

● p.125
분노는 오로지 특정한 한 사람을 겨낭한다. 이 점에서 분노는 증오와 다르다. 개인이 아니라 사람들의 집합에 대해서는 '분노'가 아니라 '증오'만이 가능하다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한다.

● p.138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분노란, 올바른 조건에서 느껴진다면 미덕이었고, 잘못된 환경에서 표현될 때는 악덕었다.

✍ 
분노하는 자들이 많아지는 것을 막기위해 분노를 유발할 한 명을 처단하는 것이 더 옳은 것이라 할 만큼 분노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불편함을 드러냈던 시대와는  다르게 분노를 좀 더 세분화하여 바라보는 시선이 느껴진다. 분노는 조건과 상황에 따라 미덕과 악덕으로 구분지어 질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신도 분노를 느끼며 분노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 하시는 것처럼 분노가 발생하여 '올바른 때에 , 올바른 대상에게, 올바른 목적과 방식'으로 표현되면 괜찮다고 말한다. 수긍하는 부분이다. 분노를 느끼지 못하는 것도 한심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분노를 느낀다는 것은 잘못된 것, 불평등, 차별에 대해 인지한다는 것일 수도 있다.  문제는 자신의 분노가 무엇 때문에 발생하는지도 모르고 아무에게나 퍼부어대는 것이 문제이다.

분노를 '고귀한 특전'으로 보고 모욕을 당하는 것도 보장된 지위에서나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다.  모욕, 손상, 수치를 계급에 해당하지 못하는 사람이 느끼는 것 자체를 허용하지 않았다하니 기가막힌다.

저자는 또 말한다.  나의 분노는 '정당한 분노'이며 '저들의' 분노는 정의로움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잘못을 우리가 지금 저지르고 있으며,   그것이 '불협화음'의 이유라고 말하고 있다. 분노를 미덕과 악덕으로 구분하지 말고 다양한 분노에 대해 이해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