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MIDNIGHT 세트 - 전10권 열린책들 창립 35주년 기념 세계문학 중단편 세트
프란츠 카프카 외 지음, 김예령 외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책은 모름지기 우리의 내면에서 결빙된 바다를 쪼개버릴 도끼여야 한다.

문학을 읽는 목적을 우리에게 각인시킨 작가 프란츠 카프카. 읽는 다는 것이 나의 경직된 사고를 깨우쳐주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그에게 쓴다는 것의 목적은 스스로를 돌아보고 , 비판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문장들은 읽는 우리를 변화시킨다.

카프카의 대표적인 작품 [변신]을 '열린책들 창립35주년 기념 세계중단편 세트'로 다시 읽어보았다. 이 작품을 처음 읽었을 때가 생각난다. 나에게 카프카의 [변신]은 SF였다. 이 얼마나 놀라운 상상력인가? 하루 아침에 갑충이 된 남자라는 설정을 생각해내다니 그의 번뜩이는 기발함이 신선했다.

그레고리 잠자는 외판원이다. 그는 자신의 직업을 좋아하지 않지만 가족의 생계와 가족의 빚을 해결하기 위해 하루하루를 견뎌내고 있었다. 그런 그가 열차 시간이 임박했는데도 어느 날 아침 일어나지 못한다. 더 이상 미루지 못할만큼 기차 시간이 임박했을 때 일어나려는 잠자는 자신의 몸에 변화가 왔음을 깨닫고, 그의 변화는 그의 가족 모두를 변화시킨다.

그가 하루아침에 갑충으로 변한 것은 그의 잘못이 크다. 그는 그 스스로를 혹사시키면서도 가족들로 부터 자신이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일찍이 인지했지만 개선하려 하지 않았다. 게다가 그가 하고 있는 일은 그 자신 스스로에게 아무런 즐거움을 선사하지 못하고 있었다. 나의 많은 것을 차지하고 있는 어떤 일이 견뎌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는데도 우린 그 일을 해내야 하는걸까? 그레고리는 가족들에게 자신의 고충을 전달하고, 어려움을 '함께' 풀 수 있는 다른 방법을 함께 강구했어야 했다. 하지만 그는 참아낸다. 어쩌면 그건 그가 고통을 즐긴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갑충으로 변한 그레고리에 관련된 일을 자신을 통해서만 해결하길 바랬던 여동생의 행동에서도 알 수 있다. 고난을 통해 존재감을 인정받고 싶은 삐뚤어진 욕구이다.

그의 단독 혹사는 가족들을 쓸모없는 존재로 만들기도 했다. 그들은 그레고리가 벌레로 변한 후 그가 더 이상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자 스스로 살아갈 방법을 찾아나서고, 각자의 역할을 해낸다. 어쩌면 그들의 노동능력은 그레고리에 의해서 박탈당한 것일 수도 있다. 그들은 스스로가 그레고리의 경제적 지원없이도 삶이 가능함을 깨닫는 순간 그레고리가 필요없어진다. 필요없어진 그의 존재는 짐스럽게 느껴질 뿐이다. 그들이 그레고리를 가족으로서 깊은 유대감과 사랑으로 바라보았다면 그렇게 쉽게 버려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카프카가 문학에서 추구하고 싶어하는대로 [변신]은 나의 세계에 균열의 흔적을 남겼다. 가족은 누구 한 사람이 이끌어가는 집단이 아니다. 각자 자신의 역할을 배분하고 함께 수행하며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바탕에는 항상 대화와 신뢰, 사랑이 깔려야 한다.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을 내가 가로채어 해나가며 스스로 소진되어가는 나를 느낀다. 나의 이기심에 아이들이 맞추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불필요한 일에 나를 소진하면서 나와 가족을 함께 힘들게 하고 있진 않는지 돌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