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란 무엇인가 -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 분노를 해석하는 12가지 담론,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바버라 H. 로젠와인 지음, 석기용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거의' 절대적으로 거부되는 분노에 대하여

● p.22
"분노를 버려라." 부처가 말한다. 분노란 나 자신을 주장하고픈 욕망이다. 그것은 우리가 세상과 맺는 관계로부터 자라나는 번민이다. "분노를 버려라" 이것은 절대적 훈계다. 분노가 옳거나 적절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경우란 없다.  분노는 타인에게 파괴적인 만큼 자신에게도 파괴적이기에 결코 옳을 수가 없다. 화난 사람은 고통스럽다.


✍ '분노'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으로 평가받는다. 분노가 종종 파괴를 몰고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잘 참아내는 것을 미덕으로 배워왔다. 그런데 분노는 참는다고 조절되는 것이 아니었다. 분노를 참아내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차곡차곡 쌓이는 것이었다. 

불교에서 '고결한 동기에서라면 살인이 허용되며, 연민에 의한 살상이라면 더 낫다' 라는 말씀은 현시대에는 부딪히는 부분이 많다. 생명은 저울질 할 수 없는 가치이며 더 나은 생명은 없다는 생명존중의 개념 때문이다. 불교의  말씀이 공리주의적 시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