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심장을 쳐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의 심장을 쳐라]는 질투, 악의, 분노, 행복, 만족, 사랑, 경멸.....등 다양한 감정의 단어들이 나열된 작품이다. 작품의 제목으로 사용된 단어 '심장'은 병리학적 시선으로 본다면 인간을 숨쉬고 살아가게 하는 기관이며 , 심리학적 시선으로 본다면 감정에 의해 차갑거나 뜨거워지는 기관이다. 심장에 병이 생기면 숨쉬는 것이 힘들어 일상적인 생활이 어렵다. 그건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모두 동일할 것이다.

이야기는 자신의 이름을 좋아하는 아름다운 젊은 여성 '마리'로 시작한다. 그녀는 뽐내기를 좋아하며, 세상의 중심이 되길 원한다. 그녀의 바람은 보이는 것에 현혹되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항상 채워진다. 하지만 인생은 예기치 못한 일로 인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그녀에게는 갑자기 찾아온 임신과 결혼이 예기치 못한 일이 된다. 본인만큼 예쁜 딸을 출산한 마리는 자신의 딸에게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한다. 그런 엄마의 행동을 관찰한 어린 '디안'은 자신을 향한 엄마의 감정을 '질투'라 정의내린다.

작품엔 두 명의 엄마가 등장한다. 우선 작품의 주인공 디안의 엄마인 마리는 자신의 딸에게 '질투'라는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미숙하고 자기 중심적인 그녀의 행동은 기준도 없고 이유도 없다. 너무 충동적이고 자기 멋대로이다. 첫째 자녀 디안에게는 '질투'를, 둘째 자녀 니콜라에게는 '무관심'을, 세째 자녀 셀리아에게는 '집착'을 보인다. 다면적인 모성의 모습을 보이는 마리를 보며 디안은 엄마의 진정한 마음을 헤아리기 어려워 혼란스럽다. 하지만 그래도 아이는 이해하려하고, 기다려도 본다. 그러다 결국은 마음의 문을 닫고, 스스로 엄마와의 관계를 정리한다. 또다른 엄마는 디안이 인턴 생활을 시작한 심장내과의 조교수 올리비아이다. 그녀는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놀라울 정도의 달변가인데다가 자신에게 엄격하고 지성적이다. 올리비아는 디안의 엄마 마리와 비슷한 연배이다. 그래서일까? 디안은 지성적이고 엄격한 올리비아에게 무조건적인 애정을 드러내며 빠져든다. 그러다 올리비아가 자신의 경력을 위해 부족한 자신의 딸을 방치상태로 놔둔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게다가 방치상태가 오래 지속되어 발달에 이상이 있는 자신의 딸을 노골적으로 경멸하는 모습을 보고 디안은 올리비아의 실체를 알게 된다. 디안이 느끼는 '엄마'라는 단어는 그녀의 심장을 차갑게 만들었을 것이다. 자신이 경험한 두 명의 엄마는 모두 이기적이고, 위선적이었다. 무조건적으로 모든 여성들에게 '모성'을 강요하는 것도 폭력이다. 하지만 두 명의 엄마는 모성이 문제가 아니라 약자를 대하는 태도가 문제이다. 아이는 작고 미숙하여 성인이 되기 전까지는 약자일 수밖에 없다. 그런 약자인 아이에게 그들은 행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했기 때문에 비난받아 마땅하다.

서른 다섯 살의 디안으로 작품은 마무리된다. 서른 다섯의 디안은 세상을 좀 더 직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누군가와 함께의 행복이 아닌 자신을 위한 행복으로 안정을 찾는다. 이제 엄마 마리도, 가족들도, 위선자 올리비아도 디안에게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녀만의 힘이 생긴 것이다. 차가워진 심장이 진정되자 그녀는 자신과 같이 상처받은 올리비아의 딸 마리엘을 위해 심장을 두드려 뜨겁게 달군다. 그녀와 마리엘은 또다른 형태의 가족의 모습으로 이상적인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심정지가 오면 갈비뼈가 부러질 만큼 가슴을 두드려 심장을 깨어나게 한다. 일상에서도 책의 제목이 제시하는 '심장을 쳐서' 박동하게 해야 할 순간이 있을 것이다. 작가 노통브는 그런 순간을 아마도 아이를 대하는 얼어버린 엄마들의 심장을 향해 이야기 하고 있는 듯하다. 그녀들이 물리적으로라도 두드려 차가워진 자신의 심장에 온기를 넣어 아이를 바라보길 바래본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