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다섯 마리의 밤 - 제7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채영신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인사건의 현장 검증으로 시작되는 작품 [개 다섯 마리의 밤]의  마지막 책장을 넘기며 스산함에 한기가 느껴졌다.  읽는 내내 인물들이 모두 파국을 맞이할 것 같은 불안함을 떨칠 수 없기도 했다. 100미터 달리기의 호흡으로 마라톤을 달린 기분이 느껴진다. 책의 제목이 된 '개 다섯 마리의 밤'은 호주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단어라고 한다. 원주민들은 혹한의 추위를 개의 온기로 채우는데 , '개 다섯 마리의 밤' 은 다섯 마리의  개를 안고 있어야 겨우 온기를 느낄 수 있을 만큼 추운 밤을 말한다고 한다. 작품 속 인물들 모두가  각자의 이유로 '개 다섯 마리의 밤'  한가운데에 있다.



색소가 부족해서 온몸과 털이 하얗고, 눈은 토끼처럼 빨간 희귀병 '알비노'를 앓고 있는 세민이는 엄마와 단둘이 산다. 항상 아이들의 왕따와 따돌림, 괴롭힘을 당하는 세민이는 또래보다 영특하고 똑똑하다. 세민이는  지적능력을 과시하며 자신을 괴롭히는 아이들을 무시한다.  아이들 간의 감정은 엄마들에게로 옮겨가고 상황은 점점 꼬여간다. 매일이 힘겨운 세민이에게 지금의 힘겨움은 세민이가 특별히 '선택받은 존재'이기  때문이라며 말하는 사람들이 어느 날 아이 앞에 나타난다.



알비노를 앓고 있는 세민이는 똑똑하다 못해 영특하고, 엄마 박혜정은 순진하다 못해 어리숙하다. 서로 다른 듯 보이지만, 두 모자는 자신들을 무시하고 동정하는 세상에 쉽게 수긍하는 자세를 취하지 않는다. 그들 주변의 사람들은 당당하고 똑부러지는  세민이가  아픈 애 답지 않아 불편하다고 한다. 동정하고, 측은함을 발휘할 기회를 가져간다며 아이에게 뻔뻔하다고 말하는 것과 같은 행동이다.  우리가 행하는 폭력 중 하나이다. 피해자, 약자가 가져야 할 행동과 표정을 정해놓고 기대에 어긋나면 '생각보다 괜찮나보네' '그렇게 힘들지 않나봐' '당할만 했던 거 아니야' 라면서 2차 피해를 가한다. 제발 남의 아픔에 쉽게 단정짓거나 수근덕 거리지 말자. 아픔을 이겨내는 방식은 다양한 것이다. 누군가 유별나게 자신을 드러내거나, 다르게 행동한다면 그건 지금 많이 힘든 것이다. 세민이는 '날선 반응'을  아이들의 괴롬힘에 방패로 선택한 것이다. 



세민이가 알비노인 것이 선택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한 태권도 사범 요한과 그의 말을 믿고 싶은 세민. 세민은 지옥같은 자신의 상황을 벗어날 방법으로 자신이 '성별자'라는 말을 믿고 싶다.  요한은 타락한 인간들을 벌하기 전 하느님이 노아를 선택하고, 노아가 방주를 만들어 구원할 것들을 배에 실었다는 성경 말씀을 인용하며 노아가 알비노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요한의  말에 세민은 흔들린다. 자신의 고난이 결국은 자신이 선택받은 특별한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믿어버린다.  그런데 그 믿음이 다소 위험하다.  세민이는  정말 자신이 성별자라고 굳게 믿고 행복한 마음으로 추락한 것일지 궁금하다. 책의 마지막에  에스더는 여호와에게 고되고 고된 길을  통해서만 천국에 왜 이르게 하시는 건지 질문한다. 고된 길을 지나야만 도달할 수 있는 천국이라면 그 곳 천국에서 황폐해질대로 황폐해진 마음이 과연 추스려질 수 있을까? 여호와를 믿는 그들의 맹목적인 믿음이 무섭다.  



작가 채영신은 '작가의 말'에서 황현산 선생님의 말씀을 포스트잇에 적어 책상 앞에 붙여놓고 이 소설을 썼다고  말한다. "잔인함은 약한 자들에게서 나올 때가 많다. 세상에는 울면서 강하게 사는 자가 많다."  작가는 황현산 선생님의 이 두 문장을 이야기로 풀어보고 싶었다고 한다. 약한 자였던 세민이 같은 이들이 더 이상 잔인해지며 자신을 지키지 않아도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되길 바란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개다섯마리의밤 #채영신 #은행나무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리투신간살롱

#황산벌청년문학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