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조선 - 시대의 틈에서 ‘나’로 존재했던 52명의 여자들
이숙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가 들어오기 시작한 조선시대부터 남여에 대한 구별과 차별이 확연히 생기기 시작한다. 엄연히 존재하는 이들이지만 역사 속에서 기록되지 않아 전면에 드러나지 않았던 그들. 그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삶을 기록하고 역사 속에 자신들을 드러낸다. 그리고 그렇게 남아 있는 그녀들 52명이 남긴 기록의 역사를 저자는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저자는 작업을 하는 중간 중간 자신의 할머니 '하승방 씨' 를 떠올렸다고 한다. 지적 호기심이 강해 유교 경전을 인용하여 말하기를 좋아하고, 손주들의 책상 위를 기웃거리며 '신학문' 교과서를 탐독했던 할머니. 저자가 곁에서 지켜 본 할머니는 시대적 한계에 부딪쳐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함이 힘들었던 조선시대 여성들의 모습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분의 구분이 확실했던 조선시대 서녀, 서자들은 자신들의 존재를 드러내지 못했던 사람들이다. 그러나 숨겨도 숨겨지지 않을 만큼 특출난 자들은 숨기려 해도 드러날 수 밖에 없다. 서녀로 태어난 사임당의 두 손녀가 그런 경우였다고 한다. 두 손녀는 신사임당 못지않은 재능과 인품을 가진 여성들이었으나, 서녀들이었기에 혼인도 측실로만 가능하였다. 혼인하여 자식을 낳았으나 그녀들 본인은 물론 자녀들로 인정받지 못하며, 집안 문서에도 기록되지 못한다. 존재했으나 기록되거나, 기억되지 않아 존재 받지 못한 사람들. 하지만 아름답고 명석하여 지아비 이시발의 측실로 들어간 사임당의 서녀는 기록으로 남겨진다. 일찍 세상을 뜬 그녀와의 이별을 슬퍼한 이시발이 제문을 쓰며 그녀를 기록한 것이다. 엄격한 신분 사회 속 낮은 신분의 여성들을 양반 사대부들이 어떻게 취급했을지 짐작이 간다.

시기와 질투 때문에 악독함의 대명사 였던 장희빈에 대한 기록을 저자가 해석한 부분은 상당히 수긍이 간다. 왕비 생활 3년 6개월, 궁궐 별채에 유폐된 희빈 생활 7년, 이후 3백 년이 넘도록 악녀로 기억되어온 장희빈은 당파 싸움의 희생양이었을 수도 있다. 또한 우리의 기억 속 선하고 자비로운 왕비의 모습인 인현왕후는 선한 피해자가 아닐 수도 있다. 악인이었던, 선인이었던, 그녀들은 모두 사대부들의 권력 싸움에 이용된 여성들이다. 게다가 그들 싸움의 정당성과 합리화를 위해 조작된 기록으로 대대손손 기억되게 된 것이다. 장희빈은 조정의 기록에 의해 우리에게 기억된다. 그 기록이 과연 얼마나 공정하고, 정확할지 알 수 없다. 여인네들의 삶은 기록되지도 않았지만,기록된 여인네들의 삶도 과연 믿을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시대가 여성을 억압했다하더라도 마냥 자신의 처지를 받아들이며 서글퍼하지 않고 당당히 맞서 성장한 여성도 있었다. <호동서낙기> 라는 기행문을 쓴 김금원이 그 인물이다. 가난한 집안의 서녀 출신인 그녀는 남달리 총명해 글공부에 능했다. 공부가 어느 정도 터를 잡기 시작하자 자신의 처지를 직시하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그녀는 어차피 여성의 신분으로 골방에 처박혀 있을 수 밖에 없다면 신분을 변장하고 팔도를 여행하며 선인들의 말씀을 되새기겠다 다짐한다. 그리곤 자신의 결심을 실행에 옮긴다. 모든 여성이 환경 속에 파묻혀 살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환경과 세상을 탓하며 애닮아 하기 보단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며 모험을 강행하는 인물들도 있는 것이다. 좀 더 적극적으로 행동했던 그녀들이 있었기에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성들의 나라에서 한 평생을 살아내고 한 두 글자로 기억되었을 그녀들. 책에 등장하는 52명의 총명한 그녀들은 전면에서 기량을 내보이지는 못했지만, 누군가의 여인, 누군가의 어머니, 누군가의 아내로 역사에서 다양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녀들도 온전한 조선의 역사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