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와 괴물이빨 알맹이 그림책 54
엠마뉴엘 우다 그림, 루도빅 플라망 글, 김시아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밀리와 괴물이빨>

-엠마누엘 우다/그림

-루도빅 플르밍고/글

-김시아/옮김

-바람의아이들



강렬한 색채와 독특한 제목으로 시선을 끄는 그림책이다. 볼로냐 라가치 대상 등, 다수의 상을 받은 엠마누엘 우다는 국내에는 처음으로 소개되는 프랑스 작가라고 한다. 그녀가 만들어 낸 캐릭터들의 독특한 모습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 같다.



무언가를 채우고, 비우는 것을 좋아하고, 독특한 그림과 세상의 모든 것을 좋아하는 에밀리는 방에 혼자 틀혀박혀 있어도 심심하거나 외롭지 않다. 하지만 성장하는 아이는 무릇 또래와 어울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은 에밀리를 걱정하고, 걱정하는 어른들의 참견은 에밀리를 더 깊이 깊이 숨어들게 한다.



아이들은 아이들만의 방식으로 놀이를 만들고 즐긴다. 그러나 우린 우리의 시선으로 그런 아이들을 다른 아이와 다르다는 이유로 불안해 하고 걱정한다. 창의성과 개성을 존중한다고 말하면서도 우린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 다름에 대해 불안해 한다. 그걸 또 고스란히 아이에게 전달하고, 그럼 아이는 자신의 개성에 대해 부정적이게 되면서 똑같은 많은 아이들 중에 하나가 되어 버린다. 그럼 또 우리는 개성없는 아이를 안타까워 한다. 어긋남의 연속이다. 에밀리의 독특함이 많은 걸 생각하게 해준다.



영아기를 거친 에밀리는 자아가 형성되는 유아기에 접어들면서 붉은 머리를 둥지처럼 보이게 하는 작은 알 하나를 지니게 된다. 아이의 작은 알은 아이가 자신의 뜻을 당당하게 밝히거나, 괴물의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괴물의 몸 속으로 들어가겠다고 괴물에게 스스로 제안할 때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그러다 온전히 혼자만의 힘으로 자신을 위협하는 괴물을 물리침과 동시에 알은 조각나고 웅크리고 있던 붉은 새는 비상한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 생각나는 부분이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고 말한 헤세의 말처럼 아이는 괴물을 물리치고 스스로 성장한다. 그리고 아이는 자신이 물리친 괴물에게서 얻은 자신만의 무기 '괴물이빨'을 간직하게 된다.



우리의 모든 아이들이 <에밀리와 괴물이빨> 속 에밀리처럼 자신의 개성을 소중하게 여기고, 자신에게 닥친 다양한 문제점을 자신만의 '괴물이빨'로 멋지게 해결해나가길 바래본다. 그러기 위해선 조금 더 기다려주고, 조금 더 믿어주는 어른의 자세가 우리에게도 필요할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도서제공

#받은책

#에밀리와괴물이빨

#루도비플라망

#엠마뉴엘우다

#김시아옮김

#바람의아이들

#꼬독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