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다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3월
평점 :

📚 <유다>
-아모스 오즈
-최창모/옮김
-현대문학
작품의 제목 '유다'가 누구를 지칭하는 것일까가 궁금했다. 또한 '유다'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과 인식은 옳은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유다는 배신자일까? 아모스 오즈의 <유다>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점을 바라보는 작가 본인의 목소리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유다>는 유대교와 기독교, 유럽과 이스라엘, 아랍과 이스라엘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서 잘 모르고 접한다면 어렵고 힘든 작품이 될 것 이다. 작품의 말미에 장장 50페이지를 할애하는 297개의 주석이 그걸 증명한다.
유대인 스물다섯 살 청년 슈무엘은 집안의 파산으로 학업을 계속 할 수 없음을 느끼고 학교를 그만둔다. 어디로 가야할지 갈 곳을 찾지 못하던 그는 우연히 임시 입주 일자리를 얻는다. 그의 입주 일자리의 업무는 그곳에 거주하는 장애 노인 게르숌 발드의 말동무가 되어 주는 것이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을 채용한 베일속 여인 아탈리야에게 매혹되지만 그녀의 아픔을 어루만져주지는 못한다.
🔖<유다> p.429
"그는 아랍인들을 사랑했어요." 그녀는 마침내 슬프게 말했다. "그는 우리를 사랑하지 않았어요. 아마 아랍인들이 그에게 돈을 줬을 거예요."
조금 더 짧은 침묵을 지킨 후 그녀가 덧붙였다.
"그는 아무도 사랑하지 않았어요. 그는 아랍인들도 사랑하지 않았죠. 아랍인들이 모두 도망칠 때, 그리고 우리가 그들이 도망가는 것을 도왔을 때, 그는 자기 집에만 머물러 있었어요. 그는 그들과 떠나지 않았어요. 그는 아무도 사랑하지 않았어요.(...)"
매일 저녁 노인의 저녁을 책임지는 옆집 여인 사라는 아탈리야의 아버지 아브라바넬에 대해 그 누구도 사랑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기억한다. 아브라바넬은 이스라엘의 총리가 된 '벤구리온'이 팔레스타인들이 터전을 잡고 있는 이스라엘 땅을 유대인의 땅으로 만드는 것에 대해 반대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녀의 아버지 아브라바넬은 아랍인들을 위해 이스라엘 공화국을 반대한 것이라는 동족의 비난을 받는다. 어쩌면 그는 반목하며 서로에게 총을 겨눌 지금의 그들과 저들의 모습을 알았던 선구자였을 수도 있다. 유다가 배신자로 불리지만 그의 행동이 있었기에 예수가 부활할 수 있었다고 '슈무엘'은 말한다. 슈무엘의 말처럼 아브라바넬의 반대가 유대인들에게 배신자의 행동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그건 두 민족의 화합을 위한 몸짓이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지금 뉴스에서 보여지는 팔레스타인들을 대하는 이스라엘의 모습은 하느님의 말씀을 행하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는 없어 보인다. 그래서 아브라바넬을, 슈무엘의 생각을 수긍하게 된다.
<유다>는 작가의 마지막 작품이다. 2018년 작고한 아모스 오즈도 작품 속 인물 아브라바넬처럼 생전에 이스라엘과 아랍의 평화 공존을 주장함으로 '배신자'라는 비난을 들어야 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작가도 아브라바넬처럼 은둔과 고독 속에 외로웠을 것이며 , 그의 가족들도 사회와 떨어져 자발적 고립을 선택하지는 않았을지 걱정스럽다. 예수를 죽음에 이르게한 성경 속 유다의 의도는 파악하기 힘들지만, 아모스 오즈의 작품 <유다> 속 아브라바넬의 의도는 공존하는 평화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오즈가 아브라바넬에게 자신을 투영한 듯 보여 아브라바넬에게 덧씌워진 '배신자'의 이름표가 안타깝다.
★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