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트 세습 - 중산층 해체와 엘리트 파멸을 가속하는 능력 위주 사회의 함정
대니얼 마코비츠 지음, 서정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11월
평점 :

<엘리트 세습>
- 대니얼 마코비츠
- 서정아/옮김
- 세종
✍ 풀기 어려운 숙제
<엘리트 세습>은 능력주의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책의 저자 대니얼 마코비츠 자신이 능력주의 사회에서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최고 중의 최고 , 천재 중의 천재로 뽑히는 엘리트라는 것이다. 그는 자기 자신을 비롯해 오직 엘리트에만 유리한 쪽으로 사회가 '조작'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것은 우리가 바로 잡아야 할 사회적 문제라고 이야기하고 있다.저자의 문제제기는 지금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도 통용되는 이야기이므로 더 집중하게 된다. 교육과 기회의 불평등, 소득의 불균형, 양극화, 자기착취, 자기비하등의 이야기 말이다.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일한 만큼 댓가를 받는 것이 왜 비난받아야 하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그런 행동은 성실함이고, 성실함은 본받을 만한 행동이라고 우린 배웠다. 책에서 저자도 계속 이야기한다. 엘리트들은 옛 특권층인 귀족들처럼 혈통이나 가문 덕택에 호의호식하는 생활을 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여가마저도 반납하며 일하고 있다고 말이다. 그것은 자기착취일 수도 있다. 그런데도 그들이 그런 자기착취를 멈출 수 없는 것은 어쩌면 끊임없이 자기를 증명해야 하는 경쟁사회를 만든 능력주의의 부작용일 수도 있다. 게다가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비난의 눈초리도 받고 있으니 속상할만도 하다. 초기에 엘리트 계층은 다른 계층들에게 개방되어 능력만 있다면 진입할 수 있는 꿈의 계층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맛본 꿈의 세계를 자신들만의 자녀에게 세습하려는 욕심이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고, 다른 계층의 진입을 막는 기회를 의도적으로 차단한 것이 문제이다. '사다리'의 격차는 한없이 벌어지면서 나머지 계층을 불필요한 존재로 느끼게끔 만들어 버린 것도 또다른 문제이다. 우리가 사는 사회는 한 사람의 영웅이 이끌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모두가 함께 만들고 내가 힘을 모아 만든 사회가 멋지게 잘 돌아가고 있다는 주인의식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함에서 오는 불만은 엘리트층의 노력도 부패함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제조업이 사회를 이끌고 그곳에서 열심히 노동력을 제공하던 노동자들은 능력주의 시대 엘리트들이 중요한 인물이 된 시점에선 실업자들이 되어버렸다. 그들은 일하고 싶고, 일할 수도 있지만 이제 점점 사회 속에서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남는 시간들은 소득과 연결되어 자녀 교육에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을 뺏어간다. 그럼으로 인해 그들의 자녀들은 기회를 얻지 못하고 경쟁에서 뒤떨어지게 된다. 이로써 자신의 필요성을 하찮게 여기게 되면서 자기비하로 연결되며, 이 모든 것을 사회시스템과 엘리트들의 탓으로 돌리게 된다.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사회는 제대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다.
자신들의 모든 행동을 부패한 것으로 바라보는 시선의 사회와 기회가 차단되어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느껴지게 만들어버리는 사회는 과연 살만한 사회일까? 엘리트는 물론 중산층, 저소득층 모두에게 불행한 사회를 만드는 '능력주의'와 '엘리트세습'은 저자의 말대로 우리가 바로잡아야 할 사회적 문제이다. 저자는 작품의 마지막 단락에 나름의 해결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으나...500페이지가 넘는 동안 동어반복한 이야기의 덧붙인 반복일 뿐인 느낌만 들었다. 결국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사회문제이며 우리의 피곤과 분노를 이용하여 정치적 입지를 다지려는 자들도 있으니 선동되지 말기를 바란다며 자신의 정치적 입장도 내비치는 듯하다. 제시한 해결방안이 문제를 해결해 줄 만큼 시원하지 않다 답답함만 더 쌓인다. 그만큼 '엘리트 세습'과 '능력주의'는 풀기 힘든 난제임이 확실하다.
🌿 네이버 카페 '리딩투데이'를 통해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개인적인 서평'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