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민한 게 아니라 섬세한 겁니다 - 뇌과학자가 말하는 예민한 사람의 행복 실천법
다카다 아키카즈 지음, 신찬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예민하다. 하지만 이렇게 이야기하면 누군가는 내 성격을 내성적이라고 말할게 분명하다. 대부분 우리는 내성적=예민이라는 공식이 머리 속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 떨어져서 보면 과연 예민하다는 것이 내성적이라는 것을 뜻할까? 그럼 모든 예민한 사람은 내성적이어서 내성적인 업무만 하는 걸까? 영업하는 사람 중에 내성적인 사람은 없을까?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이다.

 

어떤 것이든 양면성이 있다. 예민한 것은 다른 한편으론 섬세한 거다. <예민한게 아니라 섬세한 겁니다>라는 책은 바로 성격이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물론 성격 관련 책은 아니다. 사람의 행복이란 나 자신에게 집중할 때 나올 수 있다. 다른 사람의 평가에 흔들리기 시작하면 란 존재는 주체적이지 못하게 된다.

 

사실 예민하다고 죄다 겁쟁이거나 내성적이지는 않다. 적극적이고 도전적이며 외향적으로 인간관계를 넓혀가는 사람 중에도 예민한 사람은 있다.”

 

그런 측면에서 사람의 평가라는 것은 장점이 있으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장점과 단점은 종이 한 장 차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을 너무 편향되게 보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런 편향에 휘둘릴 필요도 없다.

 

한편으로 분위기를 잘 읽는 덕분에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일도 생긴다. 꺼림칙한 기분이 들어 자리를 피한 덕분에 사고나 구설수에 휘말리지 않은 경우도 있고, 모임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기 때문에 사람 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풀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삶이란 내가 주인공이다. 다른 사람이 아니다. 그리고 그 삶 속에 나는 나만이 갈 수 있는 길을 가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생각은 때론 생각보다 중요치 않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나에게 온전히 집중할 필요도 있다. 이 책은 그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게다.

 

다른 사람이 서로 다른 인생을 사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생각보다 남들은 내 자신에게 그렇게 관심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