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러진 사다리 - 불평등은 어떻게 나를 조종하는가
키스 페인 지음, 이영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빈부의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 사람들은 이제 자신이 흙수저라고 생각하면서 금수저가 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특히 중산층 또한 이런 생각을 하면서 더 이상 위로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최근 비트코인에 대한 열광에 대해 사람들은 이런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원인으로 삼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출간된 <부러진 사다리>는 많은 시사점을 준 책이다.
이 책은 사회 전반의 불평등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준다. 불평등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절대적 격차 보다 상대적 격차가 불평등 심리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소득수준이 높아도 결국 자신의 주변 사람과 자연스레 비교하기 때문에 그것이 세상은 불평등하다는 인식을 확대시킨다고 말한다.
“사회적 지위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은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코 간과해서는 안되는 문제다.”

불평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책 제목처럼 부러진 사다리를 만든다. 그래서 저자는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과 범죄율, 인종차별과 소득 불평등, 불평등과 정치 성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불평등이란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인식하기를, 가난하면 인격에 문제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또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범죄율이 낮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또한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이렇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인식과 불평등의 관계를 말하는데, 한 번쯤은 우리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사회적 이슈를 깊이있게 다루고 있다.
“한눈에 다른 사람들의 지위를 평가하고, 지위의 사다리에서 남들보다 더 높은 곳에 있기를 갈망한다. 이렇듯 사람은 물질적인 부뿐만 아니라 불평등 자체에도 엄청나게 민감하다.”
일상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회사에서의 불평등도 다룬다. 글로벌 기업들의 임원과 CEO의 높은 연봉은 조직구성원들의 성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요즈음 최고경영자의 임금 수준에서 볼 수 있는 극단적인 불평등은 직업 만족도, 팀의 실적,제품의 질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높다.”
어떤 측면의 불평등이든, 우리는 이제 주관적 인식의 불평등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무엇이 나를 동기부여 하게 만드는지, 나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상대적 비교는 끝이 없다. 끝이 없는 비교에 몰입하기 보다는 나 자신의 가치에 집중하자는 것이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 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