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케미컬 라이프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생활 속 화학 이야기
강상욱.이준영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가습기 살균제, 미세먼지, 살출제, 햄버거병 등은 케미포비아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사람들은 모든 제품에 대해 일단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고 알 수 없는 불안감에 사로잡혔다. 사회가 발달할수록 우리는 더 편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편안함 속에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불안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것들을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케미컬 라이프>는 화학 제품 속에 살아가는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들, 반대로 안심해도 될 것들을 알려준다.
책은 위험한 장소, 위험한 음식, 위험한 물건, 위험한 정보 등 4개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위험한 장소에서는 미용실, 원룸, 네일아트숍 등의 장소에 있는 위험 요소들을 알려준다. 미용실의 경우 파마약품에는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존재한다고 한다. 원룸은 공간이 협소한데 도시가스에서 나오는 메테인이 문제다. 네일아트숍에는 벤제, 톨루엔, 자일렌 등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장소에서는 환기가 필수다.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위험하기 때문이다.
위험한 음식에서는 이미 우리에게 알려진 살충제 달걀, 햄버거, 소시지, 감자칩, 뚝배기 등이 왜 위험한지에 대해 알려준다. 이런 음식에 대해서는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책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햄이나 소지지는 가급적 기름에 튀기거나 굽지 않는 것이 좋다.
위험한 물건에서는 생리대 파문, 양은 냄비, 나무젓가락 등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양은 냄비의 경우, 음식을 양은 냄비에 하면 맛이 좋다고 하는데 노란색 코팅이 벗겨진 양은 냄비는 알루미늄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몸에 좋지 않다고 한다. 나무젓가락 또한 코팅이 되어 있어 뜨거운 것을 먹을 때는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이처럼 이 책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주의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잘 알려준다. 분명 모든 것들에는 위험 요소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험 요소에 대해서는 사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알고 있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사실은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가 인간의 탐욕에서 기인하는 부분이 매우 많다는 사실이다. 대량생산을 위해 만들어낸 비정상적인 공장식축산 시스템, 생활의 편리함만을 추구하다가 안전을 외면한 생활학화제품 사고, 농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만들어낸 농약과 제초제 등 이 모든 것들이 인간의 탐욕스러운 욕망에서 출발한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