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착한 사람들 - 사이코패스 전문가가 밝히는 인간 본성의 비밀
애비게일 마시 지음, 박선령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어떤 사람은 너무 이타적인데 또 어떤 사람은 너무 이타적이지 않다. 심지어 다른 사람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모두 똑 같은 사람이라고 하지만 사람의 이타성에는 분명 차이가 존재한다. 극단적으로 사이코패스는 이타성 자체가 없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슬퍼하든 기뻐하든 자신과는 무관한 일처럼 느낀다. <착한사람들>은 사람의 이타성에 관한 책이다.
그래서 책에서는 이타적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가르는 차이가 무엇인가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말하면 “타인의 두려움을 예민하게 알아차리는 능력이 이타심과 사이코패스 성향을 판가름하는 강력한 표지가 된다”고 말한다. 어쩌면 우리는 감으로 알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타인의 두려움이라는 사실은 조금 놀랍기도 하다. 그렇다면 사이코패스는 다른 사람의 두려움에 전혀 반응이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끔찍한 살인을 저질렀을 경우에도 무표정한 경우가 많은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두려움이라는 감정은 이러한 조직적인 두뇌 활동이 합쳐지는 지점에서 생겨난다. 따라서 편도체가 손상된 환자와 사이코패스 성향이 매우 높은 사람들은 두려움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사람은 이기적인 혹은 어떤 환경에 권위에 굴복한다는 연구도 있지만 저자는 또 다른 연구를 들어 사람은 연민을 중시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스탠리 밀그램에 반하는 뱃슨의 실험을 이야기한다.
“뱃슨은 사람들에게 자유로운 선택권을 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낯선 이가 계속 고통당하는 상황을 방치하기보다 차라리 자기가 대신 고통 받는 쪽을 선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연구가 전하는 진정한 메시지는 고통 받는 낯선 이에게 냉담하거나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다는 사실이다. 연민은 강한 힘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개인차도 있다”
어쩌면 사람은 기본적은 선할지도 모른다. 성선설, 성악설이 있지만. 그리고 우리는 그 선함을 통해 이 사회를 꾸려가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선함으로 이해 이타성이 발휘되고 사회는 다른 사람들과 공존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타성은 인간의 기본적인 조건일 것이다.
다른 사람을 살펴보고자 하는 동기부여를 하는 뇌 구조를 만드는 유전자는 외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다. 시대와 국가에 상관없이 이타적 행동이 광범위하고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은 게놈 자체가 아니라 게놈이 발현되는 문화권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