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ㅣ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현남 오빠에게>라는 이 책은 페미니즘을 다룬 책이다. 여성을 한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 이 사회에 대한 비판이기도 한 이 책은 7명의 여성 작가가 쓴 단편을 모아놓은 책이다. 책 제목인 <현남 오빠에게>는 7명의 저자 중 한명의 조남주 작가가 쓴 단편의 제목이기도 하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과연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모든 사람은 평등하지만 아직도 우리는 여성을 마치 다른 인격체로 다루는 경향이 짙다. 때로는 보호해야 할 존재로 때로는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말이다. 페미니즘 소설이지만 나는 아직도 우리 사회가 아직도 전근대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책이 아닌가 싶다. 여성의 지위가 많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이다.
“오빠가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나를 돌봐줬던 게 아니라 나를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사람으로 만들었더라.”
“이제야 조금 내 인생을 돌아보고 계획하고 스스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고 싶은 일도 많고요. 제 삶을 포기할 수가 없어요. 저는 출산 계획이 없습니다. 게다가 오빠는 기대에 차서 ‘강현남 주니어’니 ‘해랑 강씨 12대손’이니 그런 말을 하는데, 저는 해랑 강씨도 아니고 대를 이어야 하는 의무감을 지고 싶지도 않아요.”
이제는 여성으로 산다는 것이 어떤 특별한 것이 아닌 그냥 평범함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 조남주<현남 오빠에게>, 최은영<당신의 평화>, 김이설<경년(更年)>, 최정화<모든 것을 제자리에>, 손보미<이방인>, 구병모<하르피아이와 축제의 밤>, 김성중<화성의 아이> 등 7개의 소설은 이제는 여성 스스로 주체적으로 삶을 살 수고 있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하는지도 모른다.
“여자로 사는 일에 대해 자주 생각합니다. 어쩔수 없다고, 별일 아니라고, 원래 그렇더라고 생각했던 일들에 대해 자주 의심합니다. 저는 모두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라는 결말을 믿지 않지만 또 절대 불가능한 결말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남성의 시각이 아닌 그렇다고 역으로 여성의 시각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의 시각으로 모든 사람을 대해야 한다. 그런 날이 온다면 페미니즘은 과거의 단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잘못된 여성 혐오와 왜곡된 생각이 바로 잡힐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