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의 감각 - 파리 서울 두 도시 이야기
이나라.티에리 베제쿠르 지음, 류은소라 옮김 / 제3의공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경의 감각>은 프랑스 파리, 한국의 서울에 대한 이야기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조금 다르다. 프랑스인이 본 서울, 그리고 프랑스에서 유학을 한 한국인이 이 본 서울이다. 그리고 그 둘은 부부다. 이 책은 파리의 눈으로 본 서울과 도시라는 공동체 두 개의 파트로 구분되어 있다.

 

이 책을 보면서 프랑스 파리의 문화와 한국 서울의 문화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다름이 우리가 익숙해서 잘 모르는 것들에서 발견된다. 파리의 카페는 개방되고 주변의 사람들과 자연스레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다. 이는 카페 뿐이 아닐 것이다. 한국인이 본 서울에서 한국 특유의 문화에 대해 말한다. 우리의 방문화는 비판적으로 보면 우리끼리라는 어떻게 보면 타자를 배제하는 공간일 수도 있다. 사실 유럽을 여행하다보면 자유로움과 개방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서울은 그 반대가 아닐까?

 

칸막이는 우리의 눈과 귀를 가로막는다. 가로막힌 세계에서 우리는 더 이상 타자의 목소리를 우연히 듣고 우리의 목소리로 대답할 수 없다.”

 

첫 번째 파트인 파리의 눈으로 본 서울은 서울 곳곳의 느낌이 중심이다. 그리고 그 느낌의 중심은 색깔, , 미술관, 광장, 간판, 교회, 묘지 등 평소 우리가 잘 생각하지 않은 것들이다. 작년 말 우리에게 가장 큰 이슈였던 광장에 대한 생각도 나온다. 저자는 광장이란 자유로움이 있어야 하고 그 자유로움은 언제나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광장에서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오고 간다. 방향을 바꾸거나 멈춰서고, 말을 하거나 혼자 머무르며 추억을 되살리거나 미래를 생각한다. 이를 위해 광장은 빈 공간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두 번째 파는 서울에 대해 조금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이 강하다. 재래시장, 랜드마크, 동네병원, 밥상, 방 등을 보지만 서울과 파리를 모두 경험한 저자는 이를 좀 다른 시각에서 본다. 랜드마크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우리는 랜드마크를 만들려고 한다. 하지만 파리는 파리 그 자체를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움이 랜드마크가 된다. 억지로 만든 랜드마크는 서울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랜드마크가 되지 못한다.

 

랜드마크 건축물은 물론 무용하지 않다. 그러나 어떤 랜드마크가 도시의 정체성을 대단하게 창조하거나 상징할 것이라는 기대는 호들갑일 뿐이다.”

 

파리와 서울. 그 두 도시는 각자의 나라를 대표한다. 그리고 그 도시의 다름은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그 두 도시의 다름, 그리고 우리가 당연시 여겼던 것들에 대한 생각을 통해서 그 도시의 풍경을 재해석 해보는 시간을 갖게 해준다. 그리고 시대의 변화 속에 우리가 가지고 있던 문화, 정체성들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타자의 시선을 통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