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을 끊어라 - 2주간 빵을 끊고 기적처럼 건강해진 글루텐프리 노하우
포브스 야요이 지음, 노경아 옮김, 이나지마 쓰카사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빵을 끊어라>. 제목만 봐도 충격적이다. 그 맛있는 빵을 끊으라니. 내 식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빵을 끊으면 무슨 재미로 살라는 건가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아침에는 커피와 베이글로 식사를 대체하고 있는 요즘 빵을 끊으면 우울해질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빵을 끊어라>의 저자는 글루텐 불내증 남편을 만나 글루텐에 대해 조사를 하면서 글루텐이 우리 몸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알게 되었다. 밀 알레르기, 셀리악병, 글루텐 불내증 등은 글루텐을 많이 먹어서 생기는 병이라고 한다.

 

글루텐 속에 포함된 글리아딘이라는 단백질이 문제가 되고 있다. 글리아딘은 뇌의 식욕을 관장하는 중추를 자극하겨 식욕을 증진시키고 혈당치를 급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글리아딘에는 마약과 같은 강한 의존성이 있다.”



 

밀가루가 우리 몸에 안 좋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실 우리가 실천하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우리 식생활의 많은 부분이 밀가루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 같이 밥을 잘 안 먹는 경우, 그 대부분이 밀가루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채워진다.

 

뇌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면역 세포가 중요하다. 그러나 글루텐 섭취 시 면역 세표가 활성 산소를 대량 발생시켜 뇌세포를 산화시키는 정반대의 효과를 낳을 수 있다.”

 

하지만 글루텐프리의 생활을 한다면 어떨까? 우리가 그렇게 원하는 다이어트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좋다고 한다. 그래서 저자는 책에 글루텐프리를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글루텐프리는 다이어트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글리아딘 의존증이 사라지면 식욕 중추에 쓸데없는 자극이 가해지지 않아서 포만감을 빨리 느끼고 식욕을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 글루텐프리를 할 경우 궁금한 사항들에 대해서도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밀가루 없이 살기 어렵지 않을까?’, ‘ 파스타가 먹고 싶어서 참을 수 없다면?’, ‘편의점에서 구할 수 있는 글루텐프리 식품이 있을까?’ 등 다양한 궁금증에 대해 책에서 답변해주고 있다.

 

특히 빵과 작별할 수 있는 건강 레시피를 제시하고 있어, 정말로 글루텐프리의 생활을 통해 몸과 마음의 건강을 모두 누르고 싶다면, 한 번 이 책을 펼쳐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