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는 부동산의 법칙 - 문재인 트럼프 시대, 폭등하는 부동산
조현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7년 상반기는 부동산 열풍이 불었다. 그리고 지금 정부의 각종 규제로 부동산은 관망세로 들어갔다. 사실 작년부터 올해까지 출판가에서 부동산 책은 지속적으로 출간되었고 대부분 베스트셀러로 자리잡았다. 그만큼 사람들이 재테크 수단으로서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르는 부동산의 법칙> 이 책도 이런 흐름에 맞춰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일반기업에 근무하고 있지만 미국에서 부동산을 공부했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책들과 달리 국내외 부동산 시장에 대해 자세히 기술해주고 있다. 그리고 미국이든 국내든 부동산에서는 누가 뭐래도 입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와 함께 이 책의 저자가 강조하는 타이밍, 정책이다.

 

부동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입지다. 좋은 입지에 있는 부동산은 파는 것이 아니다...좋은 입지에 있는 부동산은 이 공급과잉으로부터 자유롭다. 토지는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부동산에서 언제 매수를 하고 매도를 하는지 알면 누구나 부동산 투자를 통해 돈을 잘 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그래서 대체비용, 공급물량 등을 통해 매수/매도 시점을 생각해보라고 한다.



 

정책의 경우, 이번 정부 규제처럼 정부의 정책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높다.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인해 저자는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세상이 올 수도 있다고 말한다. 지금은 소형이 대세이지만 말이다.

 

그럼, 저자는 국내 부동산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정부 규제가 나오기 전에 출간된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2017년 상반기에 눈치를 보며 슬금슬금 오르던 장세는 하반기 쯤에 큰 규제를 얻어맞고 주춤하다가 서울과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어느 정도 소화된 2018년 이후 본격 상승하기 시작할 것이다...시기적으로 보면 집권 1기인 2020년까지는 상승세를 타다가 2021~2023년 사이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그 진원지는 중국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저자의 말처럼 지금 부동산 시장은 공급부족과 유동성 과다로 말할 수 있다. 이런 시기에 정부정책의 규제는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규제가 언제까지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모른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