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피엔스>로 잘 알려진 유발 하라리의 <호모데우스>는 사피엔스의 연장선의 책이다. <호모데우스>는 인간이 새로운 기술로 인해 앞으로 어떤 미래를 맞을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다. 4차 산업혁명, AI 등과 맞물린 내용이지만 인간의 역사를 살펴봤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유발 하라리는 과거 인간의 핵심 이슈는 기아, 역병, 전쟁이었지만 지금 우리의 핵심 이슈는 불멸, 행복, 신성이 되었다고 말한다. 계속된 진화로 기아, 역병, 전쟁이란 이슈를 해결해지만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우리에게는 새로운 과제가 떨어진 것이다.

 

성공은 야망을 낳는다. 인류는 지금까지 이룩한 성취를 딛고 더 과감한 목표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전례 없는 수준의 번영, 건강, 평화를 얻은 인류의 다음 목표는, 과거의 기록과 현지의 가치들을 고려할 때, 불멸, 행복, 신성이 될 것이다.”

 

이런 환경 때문에 유발 하라리는 인간이 생각하는 인간을 넘어 신이 되려고 한다고 말한다. 불멸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현재 우리는 더 불멸에 집착하고 있고 물질적 성취를 넘어선 행복을 추구하고 있으며, 생물학적인 죽음을 극복하기 위해 결국은 신이 되려고 한다이러한 호모 사피엔스는 지금까지 협력과 상호 간의 의미의 그물망을 통해 지금까지 이 세계를 지배해왔다. 여기에는 의식이 존재했다. 기존 과학혁명에서 강조한 지식=경험적 데이터x수학이 아닌 인본주의 혁명으로 지식=경험x감수성이 강조되었다.

 

사피엔스가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그들만이 상호주관적 의미망을 엮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공동의 상상 속에만 존재하는 법, , 실체, 장소로 이루어진 그물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과거의 지배력 상실 위기에 처했다. 유발 하라리는 인공지능, 드론 등 새로운 기술의 발달이 이를 초래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런 의식없는 지능은 의식있는 지능인 인간을 뛰어넘고 있다.

 

지금 우리는 이런 일들을 인간보다 훨씬 잘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비의식적 지능을 개발하고 있다. 이런 일들은 모두 패턴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데, 머지않아 비의식적 알고리즘이 인간의 의식보다 패턴 인식을 더 잘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된다면 앞으로 인간은 무엇을 하게 될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한다. 유발 하라리는 인간이 이런 비의식적 알고리즘 능력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막연한 희망은 갖기 어렵다고 말한다. IBM의 왓슨, 딥 블루, 알파고 등은 이미 인간의 능력을 뛰어 넘고 있기 때문이다유발 하라리는 말한다. 이제는 새로운 기술 종교가 대두될 것이고 데이터교가 나올 것이라고.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의해 세상이 움직일 것이다. 데이터교는 우주가 데이터의 흐름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현상이나 실체의 가치는 데이터 처리에 기여하는 바에 따라 결정된다고 말한다.

 

도래하는 시대에 새로운 기술종교들은 알고리즘과 유전자를 통한 구원을 약속함으로써 세계를 정복할 것이다.”

 

기존 호모 사피엔스의 권력은 점점 사라지고 우리는 점점 의식없는 지능에 지배당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나오는 일자리 문제도 이와 무관치 않다. 유발 하라리가 말했듯이 우리는 지능과 의식이 분리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로 인해 앞으로 일어날 일들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