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고리즘 행성 여행자들을 위한 안내서 - 쇼핑부터 인공지능까지, 우리 삶을 움직이는 알고리즘에 관한 모든 것
제바스티안 슈틸러 지음, 김세나 옮김, 김택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알고리즘? 무슨 생각부터 들까? 나는 컴퓨터 밖에 생각 안난다. 최신 트렌드로 말한다면 인공지능, 빅데이터 정도. 알고리즘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 책은 여행자들을 위한 안내서라고 이야기했지만 일반 사람이 이해하기에는 조금 어렵다. 아니 많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일단 알고리즘은 무엇일까? 이 책은 이렇게 말한다. 물론 알고리즘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알고리즘은 문제를 풀기 위한 세부적이고도 단계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한 것 같다. 알고리즘은 어떤 기준을 가진다는 것이다. 내비게이션 앱은 알아서 빠른 길을 찾아간다. 이 내비게이션 앱은 어떻게 빠른 길을 찾아갈까? 이를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나 기준이 있어야 한다. A에서 B까지 가는데 있어서의 거리, 시간 등이 기준일 것이다. 그래서 수많은 교통정보 데이터를 통해 거리와 시간을 기준으로 최적의 길을 제시핼 것이다.
내비게이션 앱뿐만 아니라 우리가 무언가를 선택할 때도 그렇다. 오늘 뭐 먹지? 오늘 뭐 입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할 때 기준을 가지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알고리즘는 패턴을 발생시키지만 그렇다고 다양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황이나 맥락에 있느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의 본질은 확정된 규칙이 아니라, 거기에서 도출되는 다양성에 있다.”
지금 어떻게 보면 우리는 알고리즘 세상에 살고 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의 용어는 알고리즘이 우리 세상에 얼마나 깊숙이 들어와 있는지를 알려준다. 구글의 검색부터 트렌드 분석까지 여기에는 알고리즘이 담겨져 있다. 넷플릭스는 어떤가? 영화를 추천하는 기준 또한 알고리즘이 숨겨져 있다. 그런데 이 알고리즘이 사람의 사고를 대체할 수 있을까? 저자는 그렇지는 않다고 말한다.
“알고리즘이 우리 인간을 대신하지 못하게 될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는 우리 사고의 일부를 잘 이해할 수 있고, 그래서 그것을 다른 곳에 옮겨놓을 수 있다.”
이 책은 알고리즘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제시해주고 있다. 이 사례가 뒤쪽에 있어 그 점은 조금 아쉽다. 또 일반인에게 맞게 조금 더 내용이 쉬웠다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