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발
반디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우리가 TV로 보는 북한과 실제 북한의 모습은 차이가 있을까? 분명 TV로 보던 그 모습보다 더 북한의 모습은 참담할 것이다. 북한 작가의 소설 <고발>은 북한의 참상을 수 많은 텍스트를 통해 여과없이 보여준다. 이 책은 북한에 살고 있는 작가가 목숨을 걸고 써서 반출시킨 소설이다. 저자는 반디라는 필명을 쓴다. 전 세계 20개국에도 출간되었다고 한다.
이 소설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우리가 북한 작가가 쓴 소설을 언제 이렇게 볼 수 있겠는가? 이 책은 7개의 작은 이야기로 구성되어있다. 탈북기, 유령의 도시, 빨간 버섯 등. 각 이야기들은 북한의 실상을 낱낱이 보여준다. 그리고 북한 사람들이 어떻게 생활하고 있고 그 속에서 북한이 어떻게 국가를 통치하는지 보여준다. 이 속에서 북한 사람들은 두려움을, 인권없는 삶을, 그리고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하나 이렇게 살아 최악의 고뇌에 시달리느니 차라리 죽어 그것을 잊어버리는 것이 낫겠기에 목숨을 내다야 하는 탈출 방법도 서슴없이 선택한 우리들이네. 혹시 운명이 구원의 손길을 뻗쳐준다면 새 삶을 찾게 될 우리들일지도 모르지.”
이런 독재 체제에서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복종의식이 생긴다. 북한의 처참한 인권 현실 속에서 두려움은 생활 그 자체이고 복종의식은 살기 위한 방편일지도 모른다. 계급, 정치범 수용소, 총알, 노동, 공개재판, 인민 등 소설 속에 종종 등장하는 단어들은 북한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상상하게 만든다.
“그처럼 복종의식이라는 관념으로 머릿속에 굳어져버렸던 그날의 포승줄!”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은 더 폭정에 시달리고 있다. 친인척도 없는 북한 정권의 행태는 자연스레 두려움을 떨게 만든다.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 북한을 우리는 감정적으로는 느끼고 있지만 몸으로는 느끼기 어렵다. 이 소설은 의식과 몸의 연결고리 느낌이다.
“변호는 없었다. 인민생활을 저해한 반혁명분자에 대한 변호를 한다면 그 변호사 자체가 이미 이 땅에서의 변호사 없는 재판에 익숙해져 있었다. 주석단에서 앉은 채로 고개만을 돌리며 재판소장이 질문을 시작했다.”
사람이 살 수 있는 세상. 자유, 인권, 정의가 보장되는 세상이 이 소설을 계기로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