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나라의 리더로 사는 것은 어떨까? 분명 쉽지 않다. 현대 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그럴 것이다. 수 많은 의사결정 과정, 자신이 리더가 되었을 때의 대내외 환경, 리더 주변의 이해관계자들 때문에 리더는 밤낮을 고민 속에 살아간다. <왕으로 산다는 것>은 이런 리더에 대한 이야기다. 500년 이상 장수한 조선왕조 27명의 왕의 이야기다.

 

사학과 교수인 저자가 <매경이코노미>에 게재한 칼럼을 모아 낸 것인데, 조선왕조의 27명의 왕의 삶을 보면서 왕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아들 이방원과의 갈등을 겪었고 이로 인해 함흥차사란 4자 성어가 생겨났다. 훈민정음, 농사직설, 향약집성방등, 해시계, 측우기 등으로 대표되는 세종의 시기에 세종은 그리 행복하지만은 않았다. 장모와 자녀들의 불운한 삶, 그리고 세종 또한 각종 질환으로 힘든 삶을 살았다.

 

세종은 가족사의 불운과 각종 질환에 시달리면서도 자신에게 맡겨진 역사적 책무를 다했다. 세종의 모습이 우리에게 더욱 감동적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은 보통 사람들과 같은 고민과 걱정을 했던 그의 인간적인 모습 때문은 아닐까?”

 

 

책은 이처럼 조선의 건국부터 왜란과 호란, 개혁과 부흥, 개항과 근대까지의 역사를 다루면서 각 시기의 조선의 왕들은 어떻게 조선을 통치하거나 삶을 살았는지 보여준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폭군이었던 연산군, 그리고 중종에 의해 쫓겨난 연산군의 마지막은 독재정치가 결국은 어떻게 종말을 맺는지 잘 보여준다. 또 선조 시대의 임진왜란과 선조의 의주로의 파천은 리더가 어떤 모습을 보여야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이외에도 역사 바로 세우기에 나선 숙종, 서민을 위했던 영조, 수원화성의 정조,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수많은 왕들의 모습을 책은 보여주고 있다.

 

정조의 화성 건설에는 무엇보다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명예 회복의 뜻이 간절히 담겨져 있었다. 할아버지에 의해 비명에 죽은 아버지, 그 아버지의 죽음 때문에 왕위 즉위 과정에서도 마음을 졸였던 정조는 아버지의 무덤을 자신이 계획 도시로 건설하고 싶어 했던 수원에 조성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처럼 이 책은 당시 상황을 고려해 왕이 왜 그런 정책을 추진할 수 밖에 없었는지, 혹은 왜 그런 삶을 살아야 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의 역사를 자연스럽게 보여주어서 책은 생각보다 쉽게 읽힌다. 한 국가를 이끌어간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이 책을 통해 국가의 리더십과 경영을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