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050 후기청년 - 당신의 진짜 인생이 시작된다
송은주 지음 / 더난출판사 / 2017년 2월
평점 :
중년’이란 단어를 듣는 순간 어떤 생각이 들까? ‘꼰대’, ‘고리타분하다’라는 생각? 언제부턴가 우리는 ‘중년’이란 단어에 부정적 느낌을 가미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반퇴’, ‘정년’, ‘명퇴’ 등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중년은 ‘위기’라는 것과도 연결된다. 특히 고령화가 되어가면서 ‘중년’은 ‘혼란’의 시시가 되는 것 같기도 하다.
<4050 후기청년>의 저자는 중년의 이 같은 생각들에서 벗어나 중년을 ‘후기청년’이라 부른다. 더 이상 나이에 구애받지 말자는 것이다. 나이 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세상을 어떤 관점에서 보고,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생활하느냐이기 때문이다. 또한 후기청년들은 육체적 노화는 과거보다 진행되었을지 모르지만 인지능력 측면에서는 더 나아졌기 때문이다.
“이 복잡하고 정교한 인지기술 분야에 대한 수행역량이 가장 무르익은 나이대는 평균 40세에서 65세였다. 중년기의 뇌는 비록 기억력의 감퇴는 진행되지만, 더 유연하고 역량이 커지는 등 중요한 기능에서 향상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년을 삶이라는 긴 생활 측면에서 본다면, 그저 하나의 시기에 불과한 것이지 여기에 우리가 어떤 특정 단계를 나누어 구지 생각할 필요가 없다. 저자는 전 세계의 4050들이 어떻게 사는지 다양한 예를 제시하면서 생동력있는 후기청년의 모습을 보여준다. 자신과 태어난 날짜가 동일한 사람들을 찾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가 하면, 자신의 오랜 꿈을 찾아 배우를 잠시 그만두고 농장을 일구거나, 컨설팅 회사를 열심히 다니다가 극지원정대 대원이 되는 등 자신의 꿈을 찾아 떠나는 4050의 모습은 중년이 또 다른 시작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100세 시대의 40, 50대는 그저 길어진 인생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확장된 청년기를 완성해가는 것이다. 열정, 자신감, 에너지에 지혜로움과 여유까지 더해진 것이 우리 시대 중년, 아니 후기 청년이다.”
이러한 후기청년의 모습들은 더 이상 하나의 잣대로 누군가를 혹은 자신을 평가하지 못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물론 이것이 중년뿐이겠는가. 나이듦이 마치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라는 생각은 버릴 필요가 있다. 오히려 나이듦을 통해서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볼 수 있는 시각을 활용해 자신이 꿈을 찾아가던지, 아니면 자신이 정말 생애 꼭 한 번 하고 싶은 것을 해보던지 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나이와 세대에 대한 천편일률적인 기대가 무너진다는 것은 결국, 외부의 압력으로 형성되던 ‘답다’와 ‘적령기’에 대해 우리 스스로가 결정권을 가짐으로써, 생에 대해 더 역동성 있게 주도적으로 대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저자가 말하는 4050 후기청년은 우리에게 나이의 변화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중요한 것은 나만의 진격의 인생을 사는 것이다. 자유로움, 도반, 생생한 경험을 얻는 곳이 후기청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