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어보지는 않았더라도 한 번 쯤 들어봤을 것이다. 이번에는 <만들어진 신>이다. 제목 그대로 신이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신에 대한 논쟁은 과학계와 종교계에서 항상 다루어졌지만, 신의 존재 자체를 검증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리처드 도킨스는 <만들어진 신>을 통해 종교가 어떤 지금까지 어떤 역할을 해왔고, 신이라는 것이 우리에게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신에 대해 조목조목 반복한다.

 

설령 종교가 그 자체로는 달리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해도 그것이 자의적이고 의도적으로 부추기는 분열은 세상에 상당한 악영향을 발휘한다.”

 


 

신 가설, 신의 존재를 옹호하는 논증들, 신이 없는 것이 거의 확실한 이유 등의 책 목차만 봐도 리처드 도킨스가 신의 존재에 대해 얼마나 세밀하게 반박하는지를 알 수 있다. 사실 신의 존재 여부를 떠나 신 가설에 대해 이렇게 까지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런 시도를 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도킨스가 종교의 심리학적 측면에 대해서도 반박을 하면서 종교가 마음의 안정을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해도 그것이 신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분명 종교는 우리 마음 한구석을 파고 들지라도 말이다. 그리고 신의 존재가 없어진 그 틈새에는 또 다른 것이 들어올 수 있을수도 있지만 말이다.

 

종교가 위로하는 힘이 있다고 해서 그것이 진실이 되는 것이 아니다. 설령 우리가 엄청난 양보를 해서, 신이 있다는 믿음이 인간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에 본질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지라도, 모든 무신론자가 냉혹하기 그지없는 우주적 불안에 자살 충돌을 일으킨다고 할지라도, 그 어떤 것도 종교 신앙이 진리라는 증거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

 

신의 존재 인정 여부를 떠나 우리는 과학적으로, 그리고 이성적으로 신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감성과 감정에 휘둘리기 보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