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노엄 촘스키 지음, 구미화 옮김, 조숙환 감수 / 와이즈베리 / 2017년 1월
평점 :
품절


사람이 동물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사고한다는 게 아닐까? 그 사고는 어디에 기반을 둘까? 아마 언어가 그 중심에 있지 않을까? 그래서 이 책은 언어란 무엇인가’, ‘인간의 이해력이 지닌 한계는 무엇인가’, ‘우리가 추구해야 할 공공선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책은 언어학자이면서도 사회 다방면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지식인 촘스키의 책으로 촘스키가 생각하는 인간에 대한 것들을 담고 있다. 언어의 경우 ‘I-언어를 제시하면서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이자 두뇌를 구성하는 요소에 속하는 것으로, 생물학에서 사용하는 기관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느슨하게 보았을 때 정신·두뇌의 한 기관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언어를 생물학적 관점에서 인지하고 있다.

 

언어는 인간이 설계하는 도구가 아니라 생물학적 실체다. 시각 계통이나 면역 계통, 소화기 계통과 마찬가지라는 이야기다. 이따금 이런 기관도 기능이 있다거나 어떤 목적을 위해존재한다고 할 때가 있지만, 그 또한 명확한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언어에 대한 촘스키의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고, 언어 자체의 미스테리한 측면도 있지만 언어가 인간에게 있어 특별한 것만은 분명한 듯 보인다. 그리고 인간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로 이어진다.

 

인간은 당연히 사회적 존재이며 우리가 어떤 유형의 생물이 되느냐는 우리가 생활하는 사회적·문화적·제도적 환경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의 논의는 인간의 권리와 복지에 기여하고 그들의 정당한 소망을 실현하는 데 보탬이 되는 사회적 합의, 요컨대 공공선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사실 이 책은 촘스키의 사상을 언어학·철학적으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가볍게 볼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촘스키에 대한 기본 이해 없는 이해가 어렵다. 그래서 촘스키의 다른 책들을 본 후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책은 230여 페이지에 불과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의 깊이는 500페이지 이상의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