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면 밸런스 - 모든 건강의 근원은 숙면에 있다!
한진규 지음 / 다산라이프 / 2016년 12월
평점 :
언제부턴가
만성피로라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니는 것 같다.
직장인이라면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 때가 한 두 번이 아닐 듯 하다.
나도
이런 피로 때문에 주말에는 하루 종일 잔 적도 있다.
이런
피로는 사실 잠을 규칙적으로 자면 괜찮은데,
과도한
야근이나 낮과 밤이 생활을 자주 할 경우 생체리듬이 파괴되어서 그런지 자도 자도 피로가 가시질 않는 경우가 있다.
<수면
밸러스>는
왜 우리가 잠을 잘 자야 하고 잠을 자지 않을 경우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알려준다.
수면
밸런스를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이 건강해질 수 있다고 한다.
잠을
잘 때 입을 벌리고 자는 것도 수면 밸런스를 깨뜨리는 것 중의 하나다.
물론
코골이도 마찬가지다.
“수면
중에도 입 호흡을 하게 되면 깨끗한 공기가 채내에 유입되지 못해 뇌가 제대로 숨을 쉬라고 뇌를 깨우는 각성파를 내보내게
되고,
이는
모든 수면장애의 시초가 된다.”
또
우리가 수면 밸런스를 하지 않으면 기억력 또한 약화된다.
열심히
공부한다고 무리하게 새벽까지 공부하게 되면 결국 수면 밸런스를 깨뜨려 뇌 세포에 피로를 가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결국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집중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다름 아닌,
뇌
세포의 피로에 있다.
몸과
마음이 아프거나 지치면 뇌신경 세포들이 집중력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어서 잡념이 생기고 행동이 산만해진다.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려면,
몸의
뭉친 근육을 풀어 주기 위해 스트레칭을 해주듯이 지친 뇌의 피로를 풀어 주는 잠을 자야 한다.”
그래서
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 책은 알려준다.
‘잠이
보약이다’라는
말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오랫동안 무리하게 일을 하다보면 잘 때 다리가 아픈 분들이 있을 것이다.
이
또한 수면 밸런스를 깨뜨리는 요인이라고 한다.
질병이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주로 잠들기 전 다리에 불편한 감각이 나타나 다리를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면서 깊은 잠을 못 자게 하는 질환이다.
주로
낮보다는 밤에 잘 발생하고,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심해지지만 움직이면 곧바로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라서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쉽다.”
이
책은 우리가 수면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밤에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있는 분이라면,
한
번 쯤 읽어보길 권한다.